교회 역사
1918년 독감 대유행


“1918년 독감 대유행”, 교회 역사 주제

“1918년 독감 대유행”, 교회 역사 주제

1918년 독감 대유행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약 5억 명(전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이 독감에 감염되었다.1 당시는 이 전염병이 바이러스성 질환인 것이 확인되지 않았을 때이고, 바이러스를 막을 백신도, 관련 세균 감염을 치료할 항생제도 없는 데다 격리와 방역이 정기적으로 이뤄지지도 못한 탓에, 독감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가 전 세계적으로 5천만 명이 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망자 수로만 보자면, 세계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 대유행 사태였다.2 후기 성도들은 전 세계에 퍼진 전염병 대유행의 파괴적인 영향력을 이겨 내기 위해 분투하며 다른 시민들과 마찬가지로 혼란과 희생, 비극을 겪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일부 국가에서는 검열법에 따라 많은 공중 보건 당국자와 언론이 이 위기의 규모를 실제보다 축소했으며, 때로는 모호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전쟁에서 중립 입장을 고수한 스페인만은 신문 검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독감이 스페인 전역에 빠르게 퍼지고 있다는 소식이 그대로 보도되었고,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독감 바이러스의 근원지를 스페인으로 추정하게 되었다. 언론은 보통 이 전염병 대유행을 “스페인 독감”으로 지칭했다. 이 부정확한 명칭은 21세기까지 그대로 사용되었다.3 전쟁 때문에 이 질병은 더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그러면서 세 차례의 뚜렷한 유행 기간을 거치며 바이러스는 더욱 강해졌고, 나아가 대유행의 근원지를 파악하는 것도 어려워졌다.4 연구자들은 이 바이러스가 최초로 유래한 곳에 대해 공통된 결론을 도출하지는 못했지만, 기록상의 최초 발병지는 미국이다. 1918년 3월, 캔자스주 라일리 요새의 캠프 펀스턴에서 백여 명의 군인이 질병에 걸렸는데, 일주일이 못 되어 환자 수는 다섯 배로 증가했다. 그리고 감염이 되었으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던 군인들은 제1차 세계대전 파병 기간에 유럽으로 그 바이러스를 옮기게 되었다.5

이미지
조셉 에프 스미스의 초상화

유타의 교회 본부 근처에서 최초로 독감이 발생한 것은 기록상 1819년 10월이다. 그로부터 채 3주가 지나지 않아서 유타주에서만 2,300명의 감염자와 11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6 상호부조회는 병원들과 협의하여 여성들을 모집했는데, 그들은 간호사, 가사 도우미, 요리사, 세탁부와 그 밖의 도우미로서 병자가 있는 가정을 도왔다. 일부 학군에서는 독감에 감염된 어린이가 90퍼센트에 달하기도 했다. 교회의 회장인 조셉 에프 스미스는 1918년 11월에 폐렴으로 사망했으며, 방역 기준에 따라 비공개로 장례가 치러졌다.7 제일회장단은 유타주의 보건 규제를 준수하여 모든 성전과 집회소, 솔트레이크 태버내클을 폐쇄했다. 또한 그들은 각 지역의 지도자들에게 모든 교회 활동과 예배를 취소하도록 권고했다.8 교회는 후기 성도들이 서로 거리를 두게 하고 감염이 더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1919년 4월 연차 대회를 연기했다. 그해 6월에 열린 연차 대회에서 교회 회장인 히버 제이 그랜트는 전 세계에서 1,054명의 성도가 독감으로 목숨을 잃었다는 보고를 전했다.9

독감의 대유행은 전 세계의 수많은 후기 성도 공동체를 비탄에 빠트렸다. 급작스럽게 독감 유행이 번지던 1918년 11월, 사모아의 한 마을인 사우니아투에서는 12세 소년 톰 파네네와 노인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주민이 독감에 감염되었다. 400명의 마을 주민들이 몸져눕게 되자, 톰은 마을의 모든 닭을 잡아 수프를 끓이고, 나무를 타고 올라가 코코넛을 따고, 집집을 다니며 음식과 신선한 샘물을 날라다 주었다. 그러다 사망자가 생기면 톰은 노인과 함께 거적으로 시신을 감싸 망자의 집 뒤편 바위가 많은 땅에 묻었다.10

뉴질랜드에서 봉사하던 선교부 회장 제임스 램버트는 오클랜드의 공공장소가 폐쇄되고 의료 시설이 과부하로 마비되는 과정을 지켜보았다.11 대유행이 잦아들기 시작하던 1918년 12월, 오클랜드행 여객선 마쿠라 호에는 12명의 후기 성도를 포함한 200여 명의 승객이 타고 있었다. 배가 태평양을 지나는 동안, 여러 승객이 선상에서 독감과 홍역에 감염된 사실이 드러났고, 지방정부 관료들은 해외 증기선 발 “오클랜드 재감염”을 막기 위해 마쿠라 호 승객들의 하선을 금했다. 미어 와앙아, 아피카라 포메어, 아이세아 와앙아, 시드니 크리스티, 케이트 크리스티, 그리고 일곱 명의 어린이는 일주일이 넘는 시간을 배에서 보낸 뒤에야 뭍에 내릴 수 있었다.12

대유행의 두 번째 고비가 꺾이기 시작할 무렵, 제1차 세계대전이 종전되었다. 많은 유타 시민은 전쟁의 종식을 기념하며 축하 행진을 하고 축제를 열었는데, 그 때문에 감염률이 치솟는 결과가 벌어졌다.13 교회 지도자들은 감염병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 조치로 성찬식에서 컵 하나를 다 같이 쓰는 대신 각자 작은 컵을 사용하게 하고, 다른 위생 절차를 통해 성찬을 준비하도록 권고했다.14 학교와 교회 폐쇄, 대규모 모임 금지, 마스크 착용 의무화, 격리 및 소독 조치와 같은 공공 의료의 개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자 전염 확산은 둔화되었다.15 1919년 봄과 여름에는 감염자 숫자가 확연히 줄었고, 1920년이 되자 독감은 계절성 전염병이 되었다. 이 양상은 지금도 전 세계에서 매년 계속되고 있다.16

관련 주제: World War I, 조셉 에프 스미스

  1. 나중에 과학자들은 이 유형의 독감이 “novel H1N1 influenza A 바이러스”에서 유래했음을 알아냈다; see Jeffery K. Taubenberger, Ann H. Reid, Amy E. Krafft, Karen E. Bijwaard, and Thomas G. Fanning, “Initial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1918 ‘Spanish’ Influenza Virus,” Science, vol. 275, no. 5307 (1997), 1793–96; see also Douglas Jordan with Terrence Tumpey and Barbara Jester, “The Deadliest Flu: The Complete Story of the Discovery and Reconstruction of the 1918 Pandemic Vir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c. 17, 2019, cdc.gov/flu/pandemic-resources.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istory of 1918 Flu Pandemic,” Mar. 21, 2018, cdc.gov/flu/pandemic-resour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18 Pandemic Influenza Historic Timeline,” Mar. 20, 2018, cdc.gov/flu/pandemic-resources; World Health Organization, Avian Influenza: Assessing the Pandemic Threat (2005), 25. 당시에는 정보를 수집할 때 토착민 공동체는 무시될 때가 많았으므로 세계적 전염병 대유행이 낳은 전세계 사망자 수는 1억 명에 달했을 수도 있다. see Niall P. A. S. Johnson and Juergen Mueller, “Updating the Accounts: Global Mortality of the 1918–1920 ‘Spanish’ Influenza Pandemic,” Bulletin of the History of Medicine, vol. 76, no. 1 (2002), 105–15.

  3. John M. Barry, The Great Influenza: The Epic Story of the Deadliest Plague in History (New York: Viking, 2004), 393–94.

  4. Jeffery K. Taubenberger and David M. Morens, “1918 Influenza: The Mother of All Pandemic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 12, no. 1 (2006), 15–22.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18 Pandemic Influenza Historic Timeline,” cdc.gov/flu/pandemic-resources.

  6. Leonard J. Arrington, “The Influenza Epidemic of 1918–19 in Utah,” Utah Historical Quarterly, vol. 58, no. 2 (1990), 167–69.

  7. 조셉 에프 스미스가 사망하기 전 보고에 따르면, 그는 항생제가 개발되기 전 시대의 고령층이 흔히 앓던 만성 감염증으로 고통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셉 에프 스미스의 사망 진단서에는 기관지 폐렴이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그를 지켜본 의사들은 그가 독감 발병이 아닌 기존 질환의 결과로 사망했다고 보았다. See “Four Score Years Have Passed Over Head of Venerable Church President,” Deseret Evening News, Nov. 13, 1918, 1; Joseph Fielding Smith, Death Certificate, Utah State Department of Health, Office of Vital Records and Statistics, Death Certificates Series 81448, https://archives.utah.gov/indexes/data/81448/2229752/2229752_0000939.jpg; President Joseph F. Smith, Venerable Church Leader, Summoned by Death Following Illness of Several Months,” Deseret Evening News, Nov. 19, 1918, 1.

  8. Passing Events,” Improvement Era, vol. 22, no. 1 (1918), 89.

  9. In Conference Report, June 1918, 74.

  10. Kenneth W. Baldridge, “Sauniatu, Western Samoa: A Special Purpose Village, 1904–34,” Journal of the Polynesian Society, vol. 87, no. 3 (1978), 165–92.

  11. James N. Lambert, Journals, 1916–1919, Nov. 4, 6, and 18, 1918, Church History Library, Salt Lake City.

  12. The Makura,” Dominion, vol. 12, no. 58 (1918), 5; Lambert, Journals, Dec. 8, 1918; Florence H. Jensen, Journal, 1917 December–1918 December, Nov. 18–19, 1918, Church History Library, Salt Lake City.

  13. Arrington, 170–71, 181.

  14. Justin R. Bray, “The Lord’s Supper during the Progressive Era, 1890–1930,” Journal of Mormon History, vol. 38, no. 4 (2012), 103–4.

  15. Martin C. J. Bootsma and Neil M. Ferguson, “The Effect of Public Health Measures on the 1918 Influena Pandemic in U.S. Citi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 104, no. 18 (2007), 7588–93.

  16. Arrington, 18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18 Pandemic Influenza Historic Tim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