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교육원
제31과: 교리와 성약 84편


“제31과: 교리와 성약 84편”, 교리와 성약 교사 교재(2017년)

“제31과”, 교리와 성약 교사 교재

제31과

교리와 성약 84편

소개 및 연대

1832년 9월에 선교사들은 미국 동부에서 복음을 전파한 후에 오하이오주 커틀랜드로 돌아와 조셉 스미스에게 그들이 거둔 성공에 관해 보고했다. 그들이 함께 모였을 때 선지자는 주님께 여쭈어 교리와 성약 84편에 기록된 계시를 받았다. 이 계시에서 주님께서는 신권이 어떻게 성도들이 하나님의 면전에 들어가 그분께서 지니신 모든 것을 받을 수 있도록 그들을 준비시키는지를 설명하셨다. 주님께서는 그분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는 것의 중요성을 가르치셨으며, 미주리주 잭슨군의 성도들이 몰몬경과 주님의 계명을 가벼이 다루는 것을 꾸짖으셨다. 주님은 또한 성도들에게 복음을 세상에 전파하라고 명하시고 그렇게 하기 위한 가르침을 주셨다.

1832년 6월 말조셉 스미스가 미주리주 인디펜던스에서 오하이오주 커틀랜드로 돌아왔다.

1832년 9월 12일조셉과 에머 스미스가 오하이오주 하이럼을 떠나 커틀랜드로 이주해서 뉴얼 케이 휘트니 상점 위층에서 살았다.

1832년 9월 22~23일교리와 성약 84편을 받았다.

1832년 10월 초조셉 스미스와 뉴얼 케이 휘트니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뉴욕주 알바니 그리고 뉴욕시를 여행하면서 복음을 전파하고 커틀랜드 상점을 위한 물건을 구매했다.

교수 제언

교리와 성약 84:1~32

주님께서 새 예루살렘에 성전이 세워질 것이라고 선언하시고 신권의 목적을 설명하시다

학생들에게 종교 단체나 신권 의식 없이도 사람들이 영적으로 될 수 있고 하나님께 가까이 갈 수 있다고 믿는 친구가 있다고 상상해 보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그 친구에게 어떻게 대답할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다음 질문들을 숙고해 보라고 한다.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회원이 되고 계속 교회에 충실하게 남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가기 위해 신권 의식을 받고 관련된 성약을 지켜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84편을 공부하면서 그들이 교회의 활동 회원이 되고 신권 의식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교리와 원리를 찾아보라고 한다.

조셉 스미스가 1832년 9월 12일에 오하이오주 하이럼을 떠나 커틀랜드로 이주했다고 설명한다. 같은 달에 미국 동부에서 복음을 전파하고 돌아온 몇몇 장로들은 조셉 스미스를 방문하여 자신들의 선교사 봉사에 관하여 보고했다. 9월 22~23일에 조셉 스미스는 이 장로들과 함께하면서 주님께 여쭈었고 교리와 성약 84편에 기록된 계시를 받았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1~2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주님께서 마지막 날에 교회를 세우신 이유를 찾아보라고 한다.

  • 주님께서 마지막 날에 교회를 세우신 이유는 무엇인가?

“그의 백성[의] 회복”이라는 2절의 문구는 이스라엘의 집합과, 주님께서 고대 이스라엘과 맺으신 성약과 약속으로 그들이 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3~6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주님께서 집합하는 성도들에게 그들이 무엇을 하도록 기대하시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찾은 것을 말해 달라고 한다.

  • 주님께서는 성도들이 성전을 건립하면 무엇을 하시겠다고 약속하셨는가?

“모세의 아들들”이라는 6절의 문구를 짚어 주고, 이 문구는 멜기세덱 신권을 소유한 이들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한 학생에게 다음 말씀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이 [구절]은 31[절]까지 계속되는 한 문장의 시작 부분이다. 중간의 모든 구절들은 신권이 모세와 아론에게 내려온 혈통에 관한 것이며, 우리 시대에 그 신권이 회복된 방법에 관한 이야기가 담긴 설명이다.”(Hyrum M. Smith and Janne M. Sjodahl, Doctrine and Covenants Commentary [1972], 498)

6~31절에 삽입된 부가 설명이 없다면 그 문장을 어떻게 이해하게 될지 학생들이 볼 수 있도록, 6절의 첫 부분에서(“그리고 모세의 아들들”) 문장이 시작되어 31절 중간에서(“…과 아론의 아들들이… 바칠 것임이니”로 시작되는 부분) 나머지 문장이 이어지도록 경전에 표시해보라고 한다. “아론의 아들들”이라는 문구는 아론 신권을 소유한 이들을 일컫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한 학생에게 6절과 31절의 표현으로 구성한 문장을 읽어 달라고 한다. 이 문장은 중간 구절들에서 언급되는 신권의 회복이 성전 의식을 집행하는 데 필요했음을 알려 준다고 설명한다.

이 구절들은 모세의 신권 권세선이 직접 아담에게로 이어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설명함으로써 교리와 성약 84편 6~16절을 요약한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17~22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주님께서 신권에 관해 무엇을 계시해 주셨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 주님께서는 17절에서 신권에 관해 무엇을 계시하셨는가?

  • “왕국의 비밀의 열쇠 곧 하나님에 대한 지식의 열쇠”를 지닌 “이 대신권” 또는 멜기세덱 신권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19절) (필요하다면 “하나님의 비밀은 오직 계시에 의해서만 알려지는 영적 진리”라고 설명해 준다.[경전 안내서, “하나님의 비밀”, scriptures.lds.org])

학생들의 대답을 들은 후, 조셉 스미스가 멜기세덱 신권은 “모든 지식, 교리, 구원의 계획 그리고 모든 중요한 일이 하늘에서 계시[되는 통로]”라고 가르쳤다고 설명한다.(교회 회장들의 가르침: 조셉 스미스[2007년], 108쪽)

  • 멜기세덱 신권의 의식에 관하여 20절에서 찾을 수 있는 교리는 무엇인가? (학생들이 다음 교리를 찾도록 돕는다. 멜기세덱 신권의 의식으로 경건의 능력이 나타난다.)

경건의 능력은 의의 권능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을 알게 되며 그분을 닮아 갈 수 있다고 설명한다.(see Bruce R. McConkie, The Promised Messiah [1978], 589).

  • 21~22절에 따르면, 멜기세덱 신권의 의식과 권세가 없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 멜기세덱 신권의 권세로 집행되는 의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십이사도 정원회의 디 토드 크리스토퍼슨 장로와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장로의 다음 말씀들을 보여 주고 한 학생에게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경건의 능력에 관하여 두 장로들이 가르치는 바를 찾아보라고 한다.

이미지
디 토드 크리스토퍼슨 장로

“그분을 향한 우리의 성약의 결의를 통해,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그분의 거룩한 영향력 즉, ‘경건의 능력’이 우리의 삶에 흘러 들어오게 하실 수 있습니다.(교리와 성약 84:20) 그것은 우리가 신권 의식에 참여함으로써 선택의지를 행사하고 그것을 받겠다고 선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모든 의식, 특히 성전에서 행하는 의식을 통해, 우리는 높은 곳에서 오는 권능을 부여받게 됩니다. 이 ‘경건의 능력’은 개인적으로, 성신의 영향력을 통해서 옵니다.” (디 토드 크리스토퍼슨, “성약의 권능”, 리아호나, 2009년 5월호, 22쪽)

이미지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장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받을 수 있는 모든 축복을 받으려면, 고결하게 맺고 지킨 성약, 그리고 합당한 신권 권세로 집행된 의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신권 의식을 통해서 속죄의 축복을 포함한 경건의 능력이 육체에 있는 사람에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교리와 성약 84:20~21 참조)”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쉽게 그들의 짐을 지게 하시매”, 리아호나, 2014년 5월호, 88~90쪽)

  • 크리스토퍼슨 장로에 따르면 경건의 능력은 무엇인가?

  • 우리 삶에서 경건의 능력을 얻기 위해 우리는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

  • 베드나 장로에 따르면, 우리가 멜기세덱 신권 의식을 받고 성약을 명예롭게 지킬 때 우리의 삶에 어떤 축복이 오는가?

학생들에게 그들이 멜기세덱 신권 의식을 받고 성약을 지킬 때 어떻게 경건의 능력이 그들의 삶에 나타나게 되는지 깊이 생각해 보라고 한다. 학생 몇 명에게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반원들에게 나눠 달라고 한다. (지나치게 개인적이거나 성스러운 것은 나누지 않도록 상기해 준다.) 여러분의 개인적인 경험을 나누는 것도 고려해 본다.

학생들에게 받을 수 있는 모든 신권 의식을 받고 성약을 충실히 지키도록 애씀으로써 경건의 능력이 그들의 삶에 나타날 수 있게 하라고 격려한다.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23~24절을 눈으로 읽으면서 주님께서 멜기세덱 신권 의식을 받는 것의 중요성을 어떻게 설명하셨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 이스라엘 자손들은 어떤 행위를 하여 그들의 삶에서 경건의 능력이 나타나지 못하게 했는가?

이스라엘 자손들이 그들의 마음을 완악하게 하였기 때문에 멜기세덱 신권의 열쇠와 그 의식이 그 백성 가운데에서 거두어졌다고 설명함으로써 25~32절을 요약한다. 하지만 주님께서는 그들이 아론 신권은 유지하도록 허락하셨다. 또한, 주님께서는 모세의 아들들과 아론의 아들들, 즉 신권을 소유한 자들이 시온에 건립될 성전에서 봉사할 것이라고 설명하셨다.(교리와 성약 84:31~32 참조)

교리와 성약 84:33~44

주님께서 신권의 맹세와 성약을 계시하시다

주님께서 교리와 성약 84편 33~44절에서 신권의 맹세와 성약에 관해 가르치셨다고 설명한다.

칠판에 성약약속 두 단어를 제목으로 쓴다. 몇몇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33~44절을 돌아가며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반원 절반에게는 사람이 신권의 맹세와 성약의 일부로서 맺는 성약을 찾아보라고 한다. 나머지 절반에게는 주님께서 이 맹세와 성약에 충실한 자들에게 하신 약속을 찾아보라고 한다. 몇몇 학생에게 칠판의 해당 제목 아래 그들이 찾은 답을 적어 달라고 한다.

  • 이 성약과 약속들을 어떻게 하나의 원리로 요약하겠는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더라도 학생들은 다음과 유사한 원리를 찾아내야 한다 충실하여 신권을 얻은 사람들이 자기의 부름을 영화롭게 하고, 주님과 그분의 종들을 받아들이고, 영생의 말씀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성결하게 하시고 그분이 가진 모든 것을 주실 것이다. 이 원리를 칠판에 적는다.)

학생들이 신권을 얻는다는 것의 의미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칠십인 정원회의 폴 비 파이퍼 장로의 다음 말씀을 보여 주고 한 학생에게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이미지
폴 비 파이퍼 장로

“신권의 완전한 축복은 남편과 아내가 함께 받든지 아니면 둘 다 받지 못하든지 둘 중 하나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신권의 맹세와 성약에서, 주님께서는 얻다받아들이다라는 동사를 사용하신다는 점입니다. 성임하다라는 동사는 사용하지 않으십니다. 남성과 여성이 함께 아론 신권과 멜기세덱 신권 모두의 축복과 권능을 얻고 받아들이는 곳이 성전입니다.” (폴 비 파이퍼, “계시된 지상 생활의 현실”, 리아호나. 2016년 1월호, 47쪽)

칠판에 적어 둔 원리를 다시 언급한다.

  • 신권 권세를 통해 받은 부름을 영화롭게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 주님의 종들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무슨 의미라고 생각하는가? 주님의 종들을 받아들이지 않고서 주님을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교리와 성약 84:45~59

주님께서 세상이 어둠 속에 있는 이유를 설명하시고 성도들에게 회개하라고 책망하시다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45~48절을 눈으로 읽으면서 부지런히 하나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자들에게 일어날 일을 찾아보라고 한다.

  • 부지런히 하나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자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49~53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주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지 않는 사람들에 관해 말씀하신 내용을 찾아보라고 한다.

  • 주님께서는 그분의 음성에 귀 기울이지 않는 사람들을 어떻게 묘사하셨는가?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84편 54~59절을 눈으로 읽으면서 시온에 있던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얼마나 잘 귀 기울였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 57절에 따르면, 성도들은 어떤 것을 가벼이 다루었는가?

57절에 나오는 “이전의 계명들”은 교리와 성약의 이전 계시들과 성경의 가르침을 의미할 수 있다고 짚어 준다.

  •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않거나 가벼이 다루어 벌어진 결과에 관하여 54~58절의 내용에서 무슨 원리를 찾을 수 있는가? (학생들이 다음 원리를 찾도록 돕는다.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않거나 가벼이 다룬다면, 우리 마음은 어두워지고 정죄 아래 놓이게 될 것이다.)

정죄 아래 놓이게 된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나타내신 빛과 지식을 받아들이거나 순종하지 않음으로써 하나님에게서 죄가 있다고 심판을 받는 것이라고 짚어 준다.(경전 안내서, “정죄하다, 정죄”, scriptures.lds.org; 교리와 성약 93:31~32 참조)

  • 불신과 하나님의 말씀을 가벼이 다루는 행위는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어둡게 하는가?

교리와 성약 84:60~120

주님께서 성도들에게 복음을 온 세상에 전하라고 명하시며 복음을 전파하도록 부름받은 이들을 가르치시다

주님께서 성도들에게 복음을 온 세상에 선포하라고 명하셨다고 설명함으로써 교리와 성약 84편 60~120절을 요약한다. 주님께서는 성도들이 “끊임없이 [하나님]의 말씀을 [그들의] 마음에 쌓아두[면]”, 그들이 복음을 나눌 때 무엇을 말해야 할지 알도록 영감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다.(교리와 성약 84:85) 주님께서는 영적으로 강한 이들에게 영적으로 약한 사람들을 교화하고 강화하라고 명하셨으며, 성도로서 다양한 부름에서 봉사하면서 교회를 강화하고 서로 교화할 수 있다고 설명하셨다.

교리와 성약 84편에서 가르치는 진리들에 대해 간증하면서 수업을 마무리한다. 학생들에게 배운 것을 적용하라고 권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