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교육원
제23장: 교리와 성약 63편


제23장

교리와 성약 63편

소개 및 연대

1831년 여름에, 선지자 조셉 스미스는 미주리주 인디펜던스에서 성도들이 시온을 건설할 토지의 헌납식을 감리하고 있었다. 선지자가 8월 27일에 오하이오주 커틀랜드로 돌아왔을 때, 그곳의 성도들은 새로운 땅과 시온을 건설하는 일에서 자신들이 맡은 역할에 관해 간절히 알고 싶어 했다.

불행하게도 커틀랜드에 있던 몇몇 교회 회원들은 선지자가 부재하는 동안 주님의 계명을 어기고 심각한 죄를 저질렀다. 1831년 8월 30일에 선지자는 교리와 성약 63편에 기록된 계시를 받았으며, 주님은 이 계시에서 성도들에게 사악함과 거역의 결과에 관하여 경고하셨다. 주님께서는 또한 성도들이 어떻게 시온에 모여 주님의 재림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말씀해 주셨다.

1831년 7월 14일조셉 스미스와 다른 이들이 미주리주 인디펜던스에 도착했다.

1831년 8월 2~3일미주리주 잭슨군에 소재한 토지가 시온 건립을 위해 헌납되었으며, 미주리주 인디펜던스에 소재한 성전 부지가 헌납되었다.

1831년 8월 27일조셉 스미스와 올리버 카우드리가 오하이오주 커틀랜드로 돌아왔다.

1831년 8월 30일교리와 성약 63편을 받았다.

교수 제언

교리와 성약 63:1~21

주님께서 사악함의 결과에 관하여 경고하시며 충실한 자들에게 기업을 약속하시다

칠판에 다음 질문들을 게시하거나 적는다.

한때 주님께 충실했던 일부 사람들이 그분을 따르는 일에서 멀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주님의 계명을 지키고 그분께 충실히 남아있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학생들에게 이 질문들을 깊이 생각해 보라고 한 후에 한두 명에게 자기 생각을 나누어 달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63편을 공부하면서 주님께 충실하게 남아 있기 위해 할 수 있는 일과 그렇게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리를 찾아보라고 한다.

1831년 8월 27일에 미주리주 여행을 마치고 오하이오주 커틀랜드로 돌아온 선지자는 오하이오의 일부 성도들이 자신이 없는 동안 죄와 배도의 상태에 빠졌다는 것을 알았다. 커틀랜드에 도착하고 사흘이 지난 후에 조셉 스미스는 교리와 성약 63편에 기록된 계시를 받았다.

몇몇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1~6절을 돌아가며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구주께서 자신을 거역한 사람들에게 어떤 말씀을 하셨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 거역하는 자들에 관해 주님께서 하신 말씀을 어떻게 요약할 수 있는가?

배도에 빠진 일부 사람들이 조셉 스미스와 다른 교회 지도자들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예컨대 1831년 10월 중순에 에즈라 부스는 배도하여 비난의 목소리를 가장 높인 사람 중 하나였고 처음으로 반몰몬 출판물을 펴낸 사람이었다. 부스는 오하이오에 있던 감리교 목사였으며, 몰몬경을 읽고 난 후에 회복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1831년 봄에 그는 조셉 스미스를 만나려고 존과 앨리스 (엘사) 존슨과 함께 커틀랜드로 갔다. 방문 도중에 그는 선지자가 앨리스의 불구가 된 팔을 치유하는 기적을 목격했고, 바로 침례를 받았다. (See Manuscript History of the Church, vol. A-1, p. 153–54, josephsmithpapers.org; see also “History of Brigham Young,” Millennial Star, Dec. 31, 1864, 834.)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7~9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신앙과 표적의 관계에 관해 주님께서 가르치신 내용을 찾아보라고 한다.

  • 이 구절에 따르면 커틀랜드의 일부 성도들이 신앙의 어려움을 겪은 이유는 무엇이었는가?

  • 주님께서 신앙과 표적에 관하여 이 구절에서 가르치신 교리는 무엇인가? (학생들은 다음 진리를 찾아내야 한다. 신앙은 표적으로 인해 오지 않는다.)

  • 신앙이란 무엇인가? (See Joseph Smith Translation, Hebrews 11:1 [in Hebrews 11:1, footnote b]; 또한 앨마서 32:21 참조.)

  • 표적을 본다고 해서 신앙이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에즈라 부스는 신앙이 아니라 표적에 의지한 사람 중 하나였다고 설명한다. 그는 침례를 받은 뒤 신권을 받고 미주리주로 선교 사업을 가라는 부름을 받았다. 그는 표적을 보이고 기적을 행함으로써 많은 사람을 개종시키기를 바랐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전도한 후에 기대한 결과를 얻지 못하자 에즈라는 불만을 품었고 곧 배도했다. (See Manuscript History, vol. A-1, p. 153–54, josephsmithpapers.org.)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10~12절을 눈으로 읽으면서 주님께서 표적과 신앙에 관해 추가로 가르치신 진리를 찾아보라고 한다.

  • 주님께서 이 구절에서 표적과 신앙에 관해 추가로 가르치신 교리는 무엇인가? (학생들의 대답을 듣고 난 후 칠판에 다음 진리를 적는다. 표적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신앙으로 주어지는 것이다.)

  • 표적이 우리의 뜻이 아닌 하나님의 뜻에 따라 온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에즈라 부스가 이 진리를 이해하고 믿었더라면 그의 선교 사업은 어떻게 달라졌겠는가?

선지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많은 교회 회원들이 표적을 구했으며, “[하나님의] 계명에서 돌이[켰다]”고 설명한다.(교리와 성약 63:13)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14~16절을 눈으로 읽으면서 일부 회원들이 범한 한 가지 죄를 찾아보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찾은 것을 발표해 달라고 한다.

  • 16절에 따르면 간음을 범하고 회개하지 않는 이들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그들은 영을 잃을 것이며 신앙을 부인할 것이다.)

약 6개월 전에 선지자 조셉 스미스에게 주신 계시에서 주님께서는 성도들에게 간음하지 말며 음욕을 품지 말라고 명하셨지만(교리와 성약 42:22~26 참조), 일부 성도들이 주님의 명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17~19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주님께서 심각한 죄를 지은 사람들에게 그 밖에 어떤 일이 일어나리라고 말씀하셨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 주님께서 죄의 결과에 관하여 성도들에게 직설적으로 말씀하신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선지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커틀랜드의 일부 성도들이 심각한 죄를 범하고 배도하긴 했지만 대부분의 성도들은 충실하게 남아 있었다고 설명한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20~21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충실히 남아 주님의 뜻을 행하는 이들에게 주님께서 약속하신 것을 찾아보라고 한다. 학생들이 읽기 전에, 20절에 “변형의 날”이라는 문구는 주님께서 다시 오셔서 지구가 낙원의 영광을 받게 될 때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 우리가 신앙으로 견디며 그분의 뜻을 행하면 주님께서 우리를 위해 하시겠다고 하신 일에 관하여 20절에서 찾을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 (학생들은 다음과 유사한 원리를 찾아내야 한다. 우리가 신앙으로 견디며 주님의 뜻을 행한다면, 우리는 세상을 이기고 주님에게서 기업을 받을 것이다. [또한 교리와 성약 63:47 참조])

  • “세상을 이기리라”라는 문구는 무슨 의미인가? (세상의 죄와 유혹을 이겨낼 것이라는 의미이다.)

학생들에게 하나님 아버지와 구주에 대한 신앙이 그들이 맞닥뜨려 온 유혹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깊이 생각해 보라고 한다. 한두 명의 학생에게 이 원리와 관련된 경험을 나누어 달라고 할 수도 있다.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개인적인 내용은 나누지 않도록 상기시켜 준다.)

교리와 성약 63:22~56

주님께서 성도들에게 시온 건설에 관한 지침을 주시고 충실한 자들에게 축복을 약속하시다

학생들에게 어떤 어려운 일을 달성할 수 있을지 염려했던 경험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몇몇 학생에게 그런 어려운 일을 마주했을 때 어떻게 했었는지 나눠 달라고 한다.

선지자 조셉 스미스가 커틀랜드로 돌아왔을 때, 그곳의 일부 성도들은 죄를 짓고 배도했지만, 많은 성도들은 시온을 건설하라는 주님의 계명을 성취할 방법을 간절히 알고 싶어 했다.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머리말을 조용히 읽으면서 선지자가 이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했는지를 찾아보라고 한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22~23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주님께서 선지자에게 주신 응답을 찾아보라고 한다.

  • 23절에 따르면 우리는 어떻게 주님의 뜻과 그분 왕국의 비밀을 알 수 있는가? (학생들이 다음 원리를 찾도록 돕는다. 우리가 계명을 지킨다면, 주님께서는 우리가 그분의 뜻과 그분 왕국의 비밀을 알도록 도우실 것이다.)

  • 주님의 왕국의 비밀은 무엇인가? (복음의 맥락에서 비밀은 계시를 통해서만 알려지고 계시를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는 진리이다.)

  • “그것들이 그 안에서 영원한 생명에 이르도록 솟아나는 생수의 샘이 되리라”라는 문구는 어떤 의미인가?(교리와 성약 63:23) (필요하다면 “생수”는 우리가 하나님처럼 되어 영생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하나님과 그분의 왕국에 대한 진리를 뜻한다고 설명한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24~27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주님께서 시온 건설에 관하여 주신 권고를 찾아보라고 한다.

  • 주님께서 시온 건설에 관하여 성도들에게 주신 권고는 무엇인가?

주님께서 교리와 성약 63편 28~48절에서 성도들에게 시온의 땅을 얻기 위해 물리력을 행사하지는 말라고 하셨다고 설명한다. 주님께서는 또한 성도들에게 마지막 날에 보호받기 위해 시온으로 모이라고 말씀하셨다. 이와 더불어 일부 성도들은 이듬해 봄에 미주리로 이주할 준비를 하라는 말씀을 들었으며, 다른 성도들은 좀 더 오하이오에 머물러야 한다는 말씀을 들었다.

한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41, 46~48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주님께서 성도들에게 시온 건설에 관하여 덧붙이신 가르침을 찾아보라고 한다.

  • 41절에 따르면 선지자는 누가 시온에 가야 하며 누가 오하이오에 머물러야 하는지를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 시온 건설을 돕기 위해 기꺼이 돈을 보낸 이들에게 주님께서 하신 약속은 무엇인가?

주님께서 교리와 성약 63편 49~54절에서 주님의 재림 때에 살아 있을 사람들뿐 아니라 그 이전에 죽은 충실한 이들에게도 축복을 약속하셨다고 설명한다. 주님께서는 55~56절에서 시드니 리그돈의 교만을 꾸짖으셨다. 시드니는 먼 곳에 거주하는 교회 회원들이 시온의 땅이 어떠한지 알 수 있도록 그 땅에 대해 자세히 기록하라는 임무를 받았다.(교리와 성약 58:50 참조) 이 기록은 성도들이 미주리주의 땅을 매입하기 위한 돈을 기부하도록 영감을 주는 데 사용될 예정이었다. 시드니의 첫 번째 기록이 주님께서 지시하신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주님께서는 시드니를 꾸짖으셨고 기록을 다시 하라고 말씀하셨다.

교리와 성약 63:57~66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종들에게 그분의 이름이 성스러움을 기억하라고 가르치시다

한 학생에게 스펜서 더블유 킴볼(1895~1985) 회장의 생애에서 다음 말씀을 읽어 달라고 한다.

이미지
스펜서 더블유 킴볼 회장

“어느 날 병원에서 저는 한 간병인에 의해 수술실 밖으로 실려 나갔는데 그 간병인은 발이 걸려 넘어질 뻔했고, 분노에 찬 그의 입에서는 지독한 악담이 구주의 이름과 뒤섞여 튀어나왔습니다. 저는 혼미한 상태였지만 저는 움찔하며 이렇게 간청했습니다. ‘제발! 제발! 당신이 욕하는 이름을 지닌 분은 바로 저의 주님입니다.’”(교회 회장들의 가르침: 스펜서 더블유 킴볼 [2006년], 157쪽)

  • 킴볼 회장이 주님의 이름을 경건하게 대한 것은 많은 사람들이 주님의 이름을 사용하는 방식과 어떻게 달랐는가?

두 학생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59~64절을 돌아가며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구주께서 당신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하신 말씀을 찾아보라고 한다.

  • 주님께서 이 구절에서 가르치신 내용을 바탕으로 주님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어떤 진리를 찾을 수 있는가? (학생들의 대답을 듣고 난 후에 다음 교리를 칠판에 적는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은 성스러우며 신중히 언급되어야 한다.)

  • 주님께서 그분의 이름을 경건하게 사용하라고 하신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62절은 어떻게 주님의 이름을 헛되이 사용함에 대한 의미를 더 잘 이해하게 해주는가?

학생들에게 교리와 성약 63편 64절을 조용히 다시 읽어 보면서 성스러운 것들을 이야기하는 것에 관하여 주님께서 추가로 가르치신 내용을 찾아보라고 한다.

  • 성스러우며 “위에서 [온]” 단어, 진리 또는 주제의 또 다른 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그것에 관해 신중하게 말하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리가 말하고 행동할 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영화롭게 함으로써 받게 되는 축복을 간증한다. 학생들에게 더 경건하고 영화롭게 주님의 이름을 사용하거나 그분의 이름으로 행할 구체적인 방법을 숙고해 보라고 한다. 다가오는 주에 그렇게 생각한 것을 실천하라고 권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