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2024
5월 20일~26일: 우리는 그분과 성약을 맺었나니 모사이야서 18~24장


“5월 20일~26일: 우리는 그분과 성약을 맺었나니. 모사이야서 18~24장”, 『와서 나를 따르라—가정 및 교회: 2024 몰몬경』(2024)

“5월 20일~26일. 모사이야서 18~24장”, 『와서 나를 따르라—가정 및 교회: 2024』

이미지
탈출하는 림하이 백성

미네르바 타이허트(1888~1976), 림하이 왕과 백성들의 탈출, 1949~1951, 메소나이트에 유채, 91x122cm. 브리검 영 대학교 미술관, 1969.

5월 20일~26일: 우리는 그분과 성약을 맺었나니

모사이야서 18~24장

모사이야서 18장23~24장에 나오는 앨마와 그 백성의 기사에는 “하나님의 무리 안으로 들어”온다는 것의 의미가 나타난다.(모사이야서 18:8) 앨마의 백성들은 침례를 받으면서 “그를 섬기며 그의 계명을 지키기로” 하나님과 성약을 맺었다.(모사이야서 18:10) 이것은 하나님과 맺은 개인적인 약속이었지만 그들이 서로를 대하는 방식과도 관련이 있었다. 하늘 아버지께로 돌아가는 여정은 개인적인 것이라서 누구도 우리가 맺은 성약을 대신 지켜 줄 수는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혼자라는 뜻은 아니다. 우리는 서로가 필요하다. 그리스도 교회의 회원으로서 우리는 이 여정에서 서로 돕고 봉사하며 “서로의 짐을 [짐]”으로써 하나님을 섬기겠다는 성약을 맺는다.(모사이야서 18:8~10) 우리가 모두 그렇듯 앨마의 백성도 분명히 감당해야 할 짐이 있었다. 주님께서는 우리가 “쉽게 [우리]의 짐을 지”도록 도우시기 위해(모사이야서 24:15) 성도들이라는 공동체를 주셨으며, 우리 성도들은 함께 슬퍼하고 위로하겠다고 약속했다.

가정 및 교회에서 배우기 위한 아이디어

모사이야서 18:1~17

이미지
세미나리 아이콘
나는 침례를 받을 때 하나님과 성약을 맺는다.

모사이야서 18장에 나오는 믿는 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얼마나 진심이었는지 생각해 본다. 그들은 그분에 대해 배우기 위해 큰 위험을 무릅쓰고 은밀하게 만나야 했다.(3절 참조) 마침내 침례 성약으로 자신들의 결심을 보여 줄 기회가 왔을 때, “그들[은] 기쁨으로 손뼉을 치며 외치기를, 이것이 바로 우리 마음의 원하는 바라”라고 했다.(모사이야서 18:11)

이 구절들을 읽으면 여러분이 맺은 성약이 여러분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숙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모사이야서 18장 8~14절을 공부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해 생각해 본다.

  • 이 구절에서, 여러분이 침례를 받을 때 했던 약속에 관하여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하나님은 여러분에게 무엇을 약속하시는가?(10, 13절 참조)

  • 하나님을 섬기겠다는 성약은 서로에게 성역을 베푸는 우리의 노력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8~9절 참조)

  • “하나님의 증인이 [된다]”는 것은 여러분에게 어떤 의미인가?(9절)

  • 침례 성약을 지키는 것은 여러분이 “영으로 충만”하게 되는 데(모사이야서 18:14)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영은 여러분이 성약을 지키도록 어떻게 도와주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다 보면 왜 성약과 의식이 하나님께 중요한지 숙고하게 될 것이다. 게릿 더블유 공 장로의 말씀 “성약에 속하는 것”(『리아호나』, 2019년 11월호, 80~83쪽) 또는 진 비 빙엄 회장의 말씀 “하나님과의 성약: 우리를 강화하고, 보호하고, 영원한 영광을 받도록 준비시킴”에서(『리아호나』, 2022년 5월호, 66~69쪽) 더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여러분은 왜 여러분이 맺은 성약에 대해 감사하는가? 여러분은 그 약속을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또한 다음을 참조한다. 복음 주제, “침례”, 복음 자료실; “앨마 일세가 몰몬의 물에서 가르치고 침례를 베풀다”(동영상), 복음 자료실.

경전과 후기 선지자들의 말씀에 나오는 진리를 가르친다. 여러분이 가르치고 또 배울 때,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경전과 후기 선지들의 말씀에 초점을 두는 것임을 기억한다.(모사이야서 18:19 참조)

모사이야서 18:17~30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에게 모이고, 조직하고, 단합하라고 명하신다.

어떤 사람들은 왜 교회가 필요한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기도 한다. 모사이야서 18장 17~31절을 살펴보면서 앨마의 백성이 “그리스도의 교회”(모사이야서 18:17)에 모이는 일에서 어떤 가치를 발견했는지 찾아본다. 앨마 시대와 우리 시대의 예수 그리스도 교회에서 어떤 유사점을 볼 수 있는가?

여러분은 조직을 갖춘 교회가 필요하지 않다고 여기는 친구나 가족에게 뭐라고 말하겠는가? 여러분이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에 속한 것을 감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와드나 지부의 회원들이 “단합과 … 사랑 가운데 … 함께 맺어지”도록(모사이야서 18:21) 여러분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또한 다음을 참조한다. 댈린 에이치 옥스, “교회의 필요성”, 『리아호나』, 2021년 11월호, 24~26쪽; “서로 사랑해”, 『찬송가』, 193장.

모사이야서 21~24장

하나님은 내가 나의 짐을 짊어지도록 도와주신다.

림하이의 백성과 앨마의 백성은 상황은 달랐지만 모두 속박을 받았다. 모사이야서 19~22장에 나오는 림하이 백성의 기사와 모사이야서 18장, 23~24장에 나오는 앨마 백성의 기사를 비교할 때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그렇게 하면서 여러분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을 찾아본다. 예를 들어, “점차로 … 번영”한다는 것은(모사이야서 21:16) 무엇을 의미하는가? 여러분은 이 원리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모사이야서 23:21~24; 24:8~17

나는 주님을 신뢰할 수 있다.

앨마와 그의 백성은 죄를 회개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들의 경험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주님을 신뢰하고 성약에 따라 생활한다고 해서 어려움이 다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을 극복하는 데는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다. 모사이야서 23장 21~24절24장 8~17절을 읽으면서, 어떤 상황에서든지 주님을 신뢰하는 법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단어와 문구에 주목한다.

또한 다음을 참조한다.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쉽게 그들의 짐을 지게 하시매”, 『리아호나』, 2014년 5월호, 87~90쪽.

어린이를 가르치기 위한 아이디어

모사이야서 18:7-17

나는 침례를 받을 때 하나님과 성약을 맺어요.

  • 아이들이 침례를 준비하도록 돕는 한 가지 중요한 방법은 그들이 침례를 받을 때 맺게 될 성약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다. 이것은 이번 주 개요 마지막에 있는 그림을 보여 주고 모사이야서 18장 9~10절에서 성약에 관해 함께 읽어 보는 것처럼 간단한 일일 수 있다. 이미 침례를 받은 아이에게 이것에 대해 더 어린 아이들을 가르쳐 달라고 부탁해 본다. 아이들은 여러분의 침례식에 대해 듣고 싶어할 것이다. 여러분은 하나님과 맺은 성약을 지킴으로써 삶에서 어떤 축복을 받았는가?

  • 침례를 받은 아이들은 자신이 맺은 성약을 자주 상기하고 매주 성찬을 통해 그것을 새롭게 할 수 있다. 아이들은 모사이야서 18장 8~10절에 나와 있는 침례 성약과 성찬 기도문(교리와 성약 20:77, 79 참조)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하면 성찬식이 침례식처럼 특별하고 경건한 시간이 되게 할 수 있을까?

이미지
침례를 받는 소녀

우리는 침례받을 때 하나님과 성약을 맺는다.

모사이야서 18:17~28

나는 침례를 받을 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회원이 돼요.

  • 아이들은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회원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알고 있는가? 아이들에게 모사이야서 18장 17~28절에서 교회 회원들이 한 일들을 나타내는 그림을 찾아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권 성임 그림과 십일조를 바침 그림(『복음 그림책』, 106번, 113번)은 18절 및 27~28절의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아이들에게 여러분이 예수 그리스도 교회의 회원이라서 감사한 이유를 말해 준다.

  • 아이들이 “단합과 … 사랑 가운데 … 함께 맺어”지는 것을 느끼도록 도울 때(모사이야서 18:21) 그들은 평생 교회에 남을 수 있다. 아이들에게 모사이야서 18장 17~28절을 읽어 보라고 한다. 앨마 시대의 그리스도 교회 회원들은 서로 사랑하고 봉사하기 위해 어떤 일들을 했는가? 우리는 어떻게 와드나 지부, 또는 지역 사회에서 그렇게 할 수 있을까? “너와 걷고”와 같은(『어린이 노래책』, 78쪽) 사랑에 관한 노래는 이 메시지를 더 강조할 수 있다.

모사이야서 24:8~17

하나님은 내 짐을 가볍게 하실 수 있어요.

  • 간단한 실물 공과를 하면 학습 내용을 더 오래 기억할 수 있게 된다. 가방에 (짐을 상징하는) 무거운 물건들을 넣고, 한 아이에게 그 가방을 들어 보라고 한다. 아이들과 함께 모사이야서 24장 8~17절을 읽으면서, 앨마와 그의 백성이 그들의 짐을 덜고자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기 위해 했던 일들이 나올 때마다 가방에서 물건을 하나씩 꺼내라고 한다. 그런 다음 우리가 하나님의 도움을 구할 때 그분께서는 어떻게 우리의 짐을 가볍게 해 주실 수 있는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아이디어가 더 필요하면, 이번 달 『친구들』 잡지 기사를 참조한다.

이미지
침례를 받는 사람들

몰몬의 물, 호르헤 콕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