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교육원
제5과 교사 자료: 필멸의 경험과 육신의 은사


“제5과 교사 자료: 필멸의 경험과 육신의 은사”, 영원한 가족 교사 자료 (2022)

“제5과 교사 자료”, 영원한 가족 교사 자료

제5과 교사 자료

필멸의 경험과 육신의 은사

우리는 전세에서 “[하나님]의 계획을 받아들였다. 그 계획에 의하여 그의 자녀들은 육신을 얻고 지상 생활의 경험을 통하여 완전을 향해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가족: 세상에 전하는 선언문”, ChurchofJesusChrist.org) 학생들은 이 과에서 우리 필멸의 삶의 목적과 어떻게 우리 육신이 우리가 하나님을 닮아 가기 위해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설명하도록 권유받게 될 것이다. 학생들은 또한 육에 속한 자신을 극복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더욱 닮아 가면서 자기 가족과의 관계를 향상하기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 보게 될 것이다.

우리의 가르침과 학습을 향상한다

확인을 통해 복음 진리를 적용하려는 학생들의 노력을 격려한다. 복음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에게로 돌이키고 그분들을 닮아 가는 것이다. 이 목표를 성취하려면 우리는 우리가 배운 것을 적용해야 한다. 교사들은 이 과에서 제시한 권유를 적절히 확인함으로써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적용하려고 노력하는 일을 도울 수 있다.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개인적인 내용은 나누지 않도록 부탁한다. 학생들이 아무 대답도 하지 않는다면,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이전 수업에서 느꼈거나 적었던 것을 떠올려 보라고 하고, 그에 따라 행동해 보라고 격려할 수 있다. 수업 시간에 간략하게 학생들에게 확인한다.

유의 사항: 지금까지 진행한 각 수업에서 학생들은 배운 내용을 적용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권유받았다. 예를 들면, 제4과에서 학생들은 어떻게 자기 삶의 중심에 가족을 둘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학생들에게 자기가 적었던 느낌을 살펴보고, 느낀 때로 행동하려 노력했던 것을 떠올려 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후에 불편해하지 않고 발표할 한두 명의 학생에게 이 가르침에 따라 더 잘 생활하려고 노력하면서 경험했던 일을 나눠 달라고 하는 것을 고려해 본다. 영의 속삭임을 느낀다면 다음 과에서 확인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교수 제언

우리 육신과 필멸의 경험은 우리가 영생을 얻는 데 필수적이다.

다음 시나리오를 보여 준다.(학생들에게 좀 더 알맞도록 해야 할 경우, 개작을 고려해 본다)

여러분의 동료인 드미트리는 친절하고 함께 있으면 재미있다. 그는 “즐거운 시간” 을 가져야 한다고 믿는다. 그는 흥분과 쾌락을 위해 산다. 그는 주말에는 주로 어떤 형태의 술이나 마약을 동반하는 파티를 즐긴다. 그는 결혼하지 않았으나 성생활을 하고 있다. 그는 종종 “기분 내키는 대로 해.” 라거나 “인생은 한 번뿐이야.”라고 말한다. 그는 여러분이 교회의 도덕 표준을 지키기 때문에 엄격하고 지루하게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최근에 여러분에게 이렇게 물었다. “인생을 좀 더 재미있게 즐기며 사는 게 어때?”

학생들에게 드미트리의 질문에 어떻게 답할 것인지를 짝과 함께, 혹은 소그룹에서 토론해 보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준비 자료 제1부에서 가르치는 우리 육신과 필멸의 삶의 목적에 관한 진리들이 어떻게 그 질문에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라고 격려한다. 시간을 충분히 준 뒤, 몇몇 학생에게 답변을 나눠 달라고 한다. 그런 후에 다음 진리를 칠판에 적는다. 우리 육신과 필멸의 상태는 우리가 하나님을 닮아 가도록 준비하게 한다.

  • 육신을 얻고 필멸의 상태를 경험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가 하나님을 닮아 가도록 우리를 준비하게 하는가? (준비 자료의 제1부에 있는 디 토드 크리스토퍼슨 장로와 데이비드 에이 비드나 장로의 말씀을 학생들에게 복습하라고 하는 것을 고려해 본다. 학생들이 통찰을 나눌 때, 후속 질문을 해서 그들이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우리는 육에 속한 자신을 극복할 수 있다.

칠판에 다음과 같이 쓴다. 육에 속한 사람 두 학생에게 앨마서 41장 11절고린도전서 2장 14절을 소리 내어 읽어 달라고 한다. 나머지 반원들에게는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육에 속한 사람을 묘사하는 단어나 문구를 찾아보라고 한다. 학생들의 대답을 칠판에 열거한다. 학생들에게 준비 자료 제2부에 있는 베드나 장로의 말씀을 살펴보면서 칠판에 적힌 내용에 추가할 특성이 있는지 찾아본다.

  • 칠판에 열거된 육에 속한 사람의 특성 중 하나를 고른다. 그 특성이 데이트나 가족 관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칠판에 이 문구를 적는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변화된 남성 또는 여성 학생들에게 모사이야서 3장 19절을 읽으면서 우리가 어떻게 육에 속한 사람을 극복할 수 있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 성령과 구주는 우리가 육에 속한 사람을 극복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학생들은 다음 원리와 유사한 답변을 할 수도 있다. 우리가 성령의 이끄심을 따를 때,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가 육에 속한 사람을 벗어 버리고 그분의 속죄를 통해 성도가 되도록 우리를 도우실 것이다. 여러분은 또한 준비 자료 제3부에 있는 베드나 장로와 제럴드 코세 감독의 말씀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이 원리를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다.)

학생들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 질문 중 한두 가지를 물어보는 것을 고려해 본다.

  • 자신이 변화할 수 없다고 느끼거나 육에 속한 사람으로서의 욕구와 충동을 조절할 수 없다고 느끼는 사람에게 이 원리가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 구주께서는 육신의 어려움에 관하여 무엇을 이해하시는가?

  • 구주께서 여러분이 육에 속한 사람을 “벗어 버리”거나 극복하도록 도우셔서 좀 더 당신을 닮아 가도록 도우신 방법에 관하여 배운 점은 무엇인가? 그런 노력을 기울일 때 성령은 어떻게 여러분을 도왔는가?

학생들이 이 과에서 배운 진리를 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보여 주면서 자기 생각과 느낌을 적어 보라고 한다. (몇몇 학생은 준비 자료 제3부 끝에 있는 여러분의 생각을 기록한다 활동에 자기 답변을 추가하고 싶어 할 수도 있다.)

  • 모사이야서 3장 19절에서 설명한 그리스도와 같은 성품 중 내가 더욱 온전히 발전시켜야 할 성품은 무엇인가?

  • 구주와 성령의 영향력에 더욱 온전히 의지해서 육에 속한 사람을 벗어 버리고 그리스도와 같은 성품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얻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 이러한 변화가 나의 가족 관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

학생들에게 자기 약점을 극복하고 구주를 더 닮아 가기 위해 노력하라고 격려한다. 주님께서는 그들이 주님의 성품을 발전시키고, 그들의 가족 관계를 향상하도록 권능으로 축복하실 것이라고 간증하는 것을 고려해 본다.

다음 수업을 위한 제언

학생들에게 하나님의 계획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결혼이 교리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에 관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곰곰이 생각해 보라고 한다. 학생들에게 제6과를 공부하면서 이 교리에 관해,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인 자신에게 이 교리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도록 노력하라고 격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