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구약전서
4월 25일~5월 1일. 출애굽기 24장; 31~34장: “내가 친히 [너희와 함께] 가리라”


“4월 25일~5월 1일. 출애굽기 24장; 31~34장: ‘내가 친히 [너희와 함께] 가리라’”,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구약전서』(2021)

“4월 25일~5월 1일. 출애굽기 24장; 31~34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이미지
모세와 이스라엘 장로들 앞에 나타나신 여호와

모세와 70인의 이스라엘 장로들 앞에 나타나신 여호와 그림, 제리 하스톤

4월 25일~5월 1일

출애굽기 24장; 31~34장

“내가 친히 [너희와 함께] 가리라”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들을 이끌고 약속의 땅으로 가고자 준비할 때, 주님은 “내가 친히 [너희와 함께] 가리라”라고 말씀하셨다.(출애굽기 33:14) 여러분 반의 어린이들을 가르칠 준비를 하면서, 어떻게 하면 주님께 함께 가 주시기를 청할 수 있을지 숙고해 본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에게 숫자가 써진 종이를 한 장씩 무작위로 골라 보라고 한다. 종이에 적힌 숫자대로 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대로 어린이들이 가정이나 초등회에서 경전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출애굽기 31:13, 17

안식일을 지키는 것은 주님을 향한 내 사랑의 표징이에요.

주님께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켰을 때 그들이 그분의 백성이 되고자 하는 소망을 나타낸 것이라고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활동 아이디어

  • 칠판에 하트를 그리고 어린이들에게 이것이 상징하는 의미를 물어본다. 어린이들이 포옹이나 봉사 행위처럼 사랑의 표징이 될 수 있는 다른 것들을 떠올릴 수 있게 도와준다. 어린이들에게 출애굽기 31장 13절을 읽어 준다.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는 것은 우리가 주님을 사랑한다는 것을 그분께 보여 드리는 표징임을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 여러분은 안식일에 주님께 사랑을 보여 드리기 위해 어떤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는지 이야기한다. 어린이와 가족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이번 주 활동 그림을 사용해서 더 많은 아이디어를 이야기해 보자고 한다.

    이미지
    가정에 있는 자녀들과 부모

    우리는 안식일을 지킴으로써 주님께 사랑을 표현한다.

출애굽기 32:1~8, 19~24

나는 주님을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둘 수 있어요.

모세가 시내산에서 주님과 대화하는 동안, 이스라엘 자손들은 주님 대신 금송아지를 숭배하는 것을 선택했다.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은 이 이야기를 통해 다른 것들을 주님보다 중요하게 여겨서는 안 된다는 점을 기억할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과 함께 십계명을 간단히 살펴보면서 두 가지 계명을 강조한다.(출애굽기 20:3~6 참조) (『구약전서 이야기』의) “십계명”을 활용하여 출애굽기 32장 1~8절과 19~24절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가능하다면, 어린이들에게 여러분을 도와 이야기를 함께 전달해 보자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잘못한 점을 어린이들이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십계명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계명을 상기시켜 줄 수 있다.) 그들은 그 대신 어떻게 해야 했을까?

  • 장난감이나 놀이 등 어린이들이 시간을 쓰는 것들에 대한 사진과 예수 그리스도의 그림을 같이 보여 준다.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존재를 나타내는 그림이나 사진을 찾아보라고 한다. 삶에서 다른 좋은 것들보다 주님을 우선시함으로써 여러분은 어떤 축복을 받고 있는지 이야기한다.

출애굽기 33:11

주님은 모세와 얼굴을 마주하고 말씀하셨어요.

모세가 금송아지를 부순 뒤, “사람이 자기의 친구와 이야기함 같이 여호와께서는 모세와 대면하여 말씀하”셨다. 어린이들은 이 사실을 앎으로써 주님은 그들을 사랑하시는, 살아 계신 인격체라는 신앙을 쌓을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좋은 친구와 이야기할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이야기해 주고, 어린이들은 그럴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물어본다. 출애굽기 33장 11절의 첫 번째 문장을 읽어 준다. 어린이들이 생각하기에 선지자 모세는 어떤 기분이었을 것 같은지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눈으로 주님을 볼 수는 없었지만, 그분을 가깝게 느꼈던 여러분의 경험을 이야기해 준다.

  • 우리를 향한 하늘 아버지나 예수님의 마음이 드러나는 노래를 함께 부른다. 예를 들어, “예수님은 우리 친구”를 부를 수 있다.(『어린이 노래책』, 37쪽)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을 보이시는 구주의 모습이 담긴 그림을 보여 준다.(『복음 그림책』, 36, 41~43, 46~47번 참조) 어린이들에게 하늘 아버지와 예수님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출애굽기 31:12~17

안식일을 지키는 것은 주님을 향한 내 사랑의 표징입니다.

안식일을 지키는 것은 주님을 향한 충실함을 나타내는 하나의 표징이 된다는 것을 깨달을 때, 어린이들은 더 쉽고 즐겁게 안식일을 지킬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이 표징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질문을 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질문할 수 있다. “봄이 다가오거나 감기가 걸릴 것 같을 때, 어떤 표징들을 통해 알 수 있나요?” 출애굽기 31장 13절, 16~17절을 읽고 “표징”이라는 말을 찾아보라고 한다. 주님께서는 무엇이 우리와 그분 사이의 표징이라고 말씀하셨는가? 이 표징이 그렇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어린이들에게 왜 안식일을 지키는 것을 선택하는지 돌아가며 설명해 달라고 한다.

  • 안식일에 주님께 사랑을 보여 드리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나는 대로 모두 적어 보라고 한다. 적은 것 중에서 몇 개를 발표해 달라고 한다. 적은 목록을 집으로 가져가서 가족들에게 소개하고, 안식일에 할 일들에 대해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마다 참고해 보라고 한다.

출애굽기 32:1~8, 19~24

나는 삶에서 주님을 가장 우선시할 수 있습니다.

출애굽기 32장의 기사에 담긴 한 가지 메시지는 주님이 아닌 그 어떤 존재도 숭배하지 말라는, 십계명 중 처음 두 계명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에 관한 것이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이스라엘 백성이 숭배할 금송아지를 만들었던 아론의 이야기에 대해 아는 점이 있다면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도움이 필요하다면, 출애굽기 32장 1~8절과 19~24절을 살펴보게 하거나 (『구약전서 이야기』의) “십계명”을 들려준다.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을 섬긴 것은 왜 잘못된 일이었는가?(어린이들이 출애굽기 20장 3~6절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십계명을 살펴보게 한다.)

  • 사람들이 주님 대신 숭배하도록 유혹받을 수 있는 것, 즉 사람들이 주님께 집중하지 못하게 하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지 그 예를 생각해 보도록 도와준다. 그런 뒤, 어린이들이 구주께 집중하고 그분을 경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출애굽기 32:1~5, 21~24

나는 의를 수호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를 만들어 달라고 말했을 때, 아론은 그 일이 옳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하겠다고 했다.(신명기 9:20 참조) 다른 사람들의 압박이 있더라도 의를 수호하도록 어린이들을 어떻게 독려하면 좋을지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각자, 혹은 짝과 함께 출애굽기 32장 1~5절과 21~24절을 읽어 보고,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를 만들어 달라고 했을 때 아론은 어떻게 해야 했는지 그들의 생각을 말해 보라고 한다. 아론은 백성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었을까?

  • 어린이들에게 자신이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일을 다른 사람에게서 요청받는 상황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그런 상황이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서로 생각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는 것에 대해 오늘 배운 것을 가족과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어린이들에게 간증을 부탁한다. 여러분은 질문을 통해 어린이들이 구주에 대한 느낌과, 복음대로 생활함으로써 받은 축복을 이야기하도록 격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할 때 그들은 자신의 간증을 나누게 된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11쪽, 32쪽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