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구약전서
9월 26일~10월 2일. 이사야 50~57장: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9월 26일~10월 2일. 이사야 50~57장: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구약전서』(2021)

“9월 26일~10월 2일. 이사야 50~57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이미지
가시관을 쓰고 병사에게 조롱을 당하시는 그리스도

조롱당하시는 그리스도, 칼 하인리히 블로흐.

9월 26일~10월 2일

이사야 50~57장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이사야 50~57장은 아름답지만,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는 표현들이 포함되어 있다. 공과를 준비할 때, 이 말들이 전하는 단순한 진리에 대해, 또 어린이들이 그것을 배우도록 도울 방법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사랑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지 한 명씩 이야기해 보도록 격려한다. 그들은 예수님께 사랑을 보이기 위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이사야 53:4

예수 그리스도는 나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고통을 겪으셨어요.

예수 그리스도는 속죄 희생을 통해 우리의 죄를 대신하여 고통을 당하셨고, “우리의 질고”와 “우리의 슬픔”을 몸소 짊어지셨다. 여러분은 구주의 속죄에 대해 어린이들에게 어떻게 간증하겠는가?

활동 아이디어

  • 십자가와 겟세마네 동산에서 고통당하시는 구주의 그림들을 전시한다.(『복음 그림책』, 56번, 57번, 또는 『신약전서 이야기』, 제51~53장 참조) 어린이들에게 각 그림을 보이는 대로 설명해 달라고 하고, 그 그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도 아는 대로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예수님께서는 왜 우리를 위해 고통을 당하셨는가?

  • 어린이들에게 이사야 53장 4절에 나오는 다음 구절을 읽어 준다.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어린이들에게 무거운 물건(또는 그 그림)을 보여 주고, 무거운 물건을 드는 시늉을 해 보라고 한다. “질고”와 “슬픔”은 짊어지기에 무겁고 힘들게 느껴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를 사랑하시므로 우리가 그것을 짊어지는 것을 도와주실 것이라고 간증한다.

이사야 55:6

나는 주님을 찾고 그분을 부를 수 있어요.

어린이들이 살아가는 내내 계속해서 예수님을 “찾”는다는 개념을 이해하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교실 한쪽에 예수님 그림을 숨기고 어린이들에게 찾아보라고 한다. 이사야 55장 6절에서 “너희는 여호와를 만날 만한 때에 찾으라”라는 구절을 읽어 준다. 어린이들이 주님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몇 가지 말해 보라고 한다. 주님을 찾는다는 것은 그분에 대해 배우고 그분께 가까이 가려고 열심히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린이들이 대답할 때마다 그림을 다시 숨기고, 대답한 어린이가 그 그림을 “찾[아]” 보게 한다.

  • 어린이들이 “나 어릴 때 주님을 찾으리”(『어린이 노래책』, 67쪽), 또는 구주께 가까이 나아가는 것에 관한 다른 노래의 가사를 익히도록 돕는다. 이번 주 활동 그림을 활용하여, 어린이들이 “여호와를 … 찾”기 위해 할 일을 선택하도록 돕는다.

  • 이사야 55장 6절에서 “가까이 계실 때에 그를 부르라”라는 구절을 읽어 준다. 우리는 어떻게 하나님 아버지를 부르는가? 어린이들에게 기도할 때 무슨 말을 하는지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그들을 사랑하시며 그들의 기도를 들으신다고 간증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이사야 51~52장

주님은 내게 “힘을 [내]”라고 권유하십니다.

주님은 이사야 51장52장에서 “깰지어다”, “일어설지어다”, “네 힘을 낼지어다”와 같은 말씀을 통해 당신의 백성들이 그들의 신성한 잠재력에 도달하도록 영감을 주셨다. 이러한 말들이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에게 어떤 영감을 줄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활동 아이디어

  •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이사야 51~52장에서 주님이 백성들에게 바라셨던 행동이 나타난 말들을 칠판에 적어 둔다. “너희는 하늘로 눈을 들며”, “깰지어다”, “일어설지어다”, “너희는 티끌을 털어 버릴지어다”, “기쁜 소리를 내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이사야 51:6, 17; 52:2, 9) 어린이들이 돌아가며 그중 한 가지를 동작으로 표현하면, 나머지 어린이들은 그것이 어떤 행동인지 맞혀 본다. 차례가 끝날 때마다 경전에서 그 구절을 보여 주고, 그 구절의 영적인 의미를 함께 토론한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무엇을 하도록 명하시는가? 우리는 이러한 일들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 이사야 51장 1, 4, 7절을 읽고, 여기서 주님은 누구에게 말씀하시고 그들에게 무엇을 바라시는지 찾아보라고 한다. 주님께 “귀를 기울이라”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한 어린이에게 다른 어린이들에게 간단한 일을 지시해 보라고 한다. 때로 주님께 귀를 기울이고 순종하는 일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우리가 주님께 “귀를 기울”인다는 사실을 그분께 증명할 수 있을까?

이미지
십자가를 짊어지신 그리스도 조각상

사랑하기에, 조각가 앤절라 존슨

이사야 53:3~9

예수 그리스도는 나의 죄와 슬픔을 짊어지셨습니다.

어린이들이 구주께서 그들을 위해 하신 일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이사야의 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예수 그리스도의 고통과 죽음을 묘사한 그림 몇 장을 전시한다.(예를 들어 『복음 그림책』, 56번, 57번, 58번 참조) 이사야 53장 3~6절과 9절을 함께 읽고, 어린이들에게 이 그림에 나오는 사건들을 묘사하는 문구들을 찾아보라고 한다. 이사야와 같은 선지자들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고통을 당하시기 수백 년 전에 이미 이 중요한 사건들을 가르쳤다고 간증한다. 사람들이 이러한 일들을 훨씬 앞서서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앨마서 39:15~19 참조)

  • 어린이들에게 이사야 53장 4~7절을 읽고 구주께서 우리를 위해 받으신 고통을 묘사하는 단어들을 찾아보라고 한다. 그 단어들을 칠판에 적어 달라고 한다. 그분은 왜 우리의 “질고”와 “슬픔”과 “죄악”을 짊어지셨는가?(또한 앨마서 7:11~12 참조) 구주께서는 여러분의 질고와 슬픔을 어떻게 덜어 주셨는지 이야기해 준다. 어린이들은 그분에 대해, 또 그분이 그들을 위해 하신 일에 대해 어떤 마음이 드는지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이사야 55:7~9

주님의 길은 나의 길보다 더 높습니다.

주님의 생각과 길이 우리의 것보다 더 높음을 이해할 때, 그분을 신뢰하는 일은 더 쉬워진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어려운 문제가 있을 때 누구를 찾아가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 물어본다. 어린이들과 함께 이사야 55장 8~9절을 읽으면서, 도움이 필요할 때 주님께 인도를 구해야 하는 이유를 잘 들어 보라고 한다.

  • 칠판에 하늘과 땅을 그리고 하늘이라고 적는다. 그런 다음, 어린이들에게 이사야 55장 9절을 읽고 주님께서 하늘과 땅에 비유하신 것들을 찾아서 그것들도 그려 넣어 보라고 한다. 주님의 길과 생각은 우리의 것보다 더 “높[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 점을 아는 것은 왜 중요할까?

  • 우리의 길보다 높은 주님의 길이 나타나는 예에 대해 함께 이야기해 본다. 예를 들어, 죄인들을 대하시는 그분의 길 또는 방식은 어떠한가?(마가복음 2:15~17 참조) 다른 사람들을 이끄시는 그분의 방식은 어떠한가?(마태복음 20:25~28 참조) 그분의 길은 다른 길과 어떻게 다른가? 여러분은 주님의 더 높으신 길과 생각들을 어떻게 신뢰하게 되었는지 이야기해 준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오늘 수업에서 배운 것을 토대로 예수 그리스도께 더 가까이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목표를 세우라고 제안한다. 그 목표를 가족에게 이야기해 보라고 권유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나이가 어린 아이들이 경전에서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이 경전에서 배울 수 있도록 경전의 한 구절, 혹은 핵심 어구 하나에 집중한다. 성구 한 토막을 읽어 주면서, 여러분이 강조하고 싶은 단어나 구절이 나오면 어린이들이 일어서거나 손을 들게 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