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왜 나는 나의 몸을 성전처럼 다루어야 하는가?


왜 나는 나의 몸을 성전처럼 다루어야 하는가?

우리의 몸은 하나님 아버지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다. 육신은 우리가 필멸의 시간을 경험하고 좀 더 그분과 같이 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주신 은사이다. 이 지식은 우리가 육신을 대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며 하나님 아버지와 우리 자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우리가 우리 몸을 하나님의 성전처럼 다룰 때, 우리는 육체적, 정서적, 그리고 영적으로 축복을 받는다.

영적으로 자신을 준비함

여러분은 여러분의 몸을 하나님의 성전처럼 대하면서 어떤 축복을 받았는가? 여러분은 여러분의 삶에서 또는 다른 사람들의 삶을 통해서 여러분의 몸은 성스러운 것임을 어떻게 더 깊게 이해하게 되었는가?

청남들이 그들의 몸을 하나님이 주신 성스러운 은사로서 대하려 노력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그들의 몸을 대하는 방식은 신권 권능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기도하는 마음으로 다음 성구와 자료들을 연구한다. 성신은 여러분이 어떤 것을 청남들과 나누도록 영감을 주는가?

창세기 39:1~21, 다니엘 1:3~21 (요셉과 다니엘이 보여 준 몸에 대한 그들의 존중을 보여 준다.)

고린도전서 6:19~20, 교리와 성약 93:33~35 (우리는 하나님의 성전이다.)

교리와 성약 88:15~16 (영과 몸이 곧 사람의 영혼이다.)

교리와 성약 130:22, 모세서 6:9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되었다.)

고든 비 힝클리, “네 자녀는 크게 평강할 것이며,리아호나, 2001년 1월호, 61쪽

비디오: “몰몬 무스탕”, “순결: 어디까지 허용됩니까?”

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구주께서는 그분이 가르치시는 사람들을 사랑하셨다. 그분은 그들이 누구이며 장차 어떤 존재가 될 수 있는지를 아셨다. 그분께서는 그들이 성장할 수 있는, 그들에게 맞는 적합한 방법을 찾으셨다. 그들이 어려움을 겪고 힘들어할 때면, 포기하지 않으시고 계속하여 사랑을 베풀고 돌보셨다. 여러분은 구주께서 보여 주신 것처럼 청남들을 사랑하고 돌보기 위해 어떻게 할 수 있는가?

청남이 모임을 이끌게 함

정원회 회장단 중 한 명(또는 제사 정원회에서 감독의 보조 중 한 명)이 정원회 모임의 사회를 맡는다. 그는 정원회 행사에 관해 청남들이 서로 협의하게 하고, 청남들에게 (경전과 하나님에 대한 의무 책자에 언급되어 있는) 신권 의무를 가르치며, 고문이나 다른 정원회 회원에게 복음 공과를 가르치도록 부탁한다. 회장단 모임에서 정원회 모임 계획을 작성하면서 준비할 수 있다.

학습 경험을 시작함

여기 나온 제언들 중에서 선택하여 활용하거나 여러분이 고안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난 주 공과 내용을 복습하고 이번 주 공과를 소개한다.

  • 청남들에게 지난 주 공과에서 배운 것들을 상기시킨다. 그들이 토론했던 것에 대해 어떤 질문이나 새로 발견한 통찰이 있는가?

  • 청남들에게 성전 사진을 보여 주고 성전을 생각할 때 마음에 떠오르는 단어를 적어 보라고 한다. 그 단어들의 반의어는 무엇인가? 청남들에게 그들의 몸을 하나님의 성전처럼 대하기 위해 그들이 하도록 권고받은 것들을 말해 달라고 한다.

함께 배움

다음 각 활동은 정원회 회원들이 그들의 몸은 신성한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감에 따라 여러분의 정원회에 가장 적합한 것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선별한다.

  • 각 청남에게 이 개요에 나오는 경전 구절들 중 하나를 정해 준다. 청남들에게 그 구절들을 공부하고 왜 우리 몸이 신성한 것인지에 대해 배운 것을 한 문장으로 요약해 달라고 한다. 그들에게 자신의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것들을 이야기해 달라고 한다.

  • 각 청남에게 이 개요에 제시된 말씀들 중 하나의 일부를 읽어 보라고 한다. 그런 뒤 청남들에게 잠시 시간을 주고 각자 우리 몸의 신성함에 대해 짧은 공과를 준비해 보라고 한다. 그 말씀에서 필요한 부분을 인용하고 또한 그들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간증을 활용하도록 격려한다.

  • 정원회로서 함께 고린도전서 6:19~20 및 교리와 성약 93:33~35를 읽어 본다. 청남들에게 우리 몸이 하나님의 성전과 같은 점들을 목록으로 만들어 보라고 한다. 청남들이 몸을 성전처럼 관리하고 지키려 할 때 힘들거나 어려운 점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토론해 보라고 한다. 그들은 이런 어려운 점들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 정원회를 두 명씩 짝지어 준다. 각 조에서 한 명에게 창세기 39:1~21을 읽으라고 하고 나머지 한 명은 다니엘 1:3~21을 읽으라고 한다.(이 일화들의 그림을 보려면 복음 그림책 11, 23쪽을 참조한다.) 요셉과 다니엘이 그들의 몸을 존중했음을 보여 준 방법들을 찾아보라고 하고 각 청남들에게 그들이 찾은 것을 말해 달라고 한다. 그들은 요셉과 다니엘의 모범을 어떻게 따를 수 있는가?

  • 청남들에게 청소년의 힘을 위하여의 목차를 보라고 하고, 그들의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지키는 데 관련된 표준들을 찾아보라고 한다. 정원회를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게 그 표준들을 살펴보면서 “왜 나는 나의 몸을 성전처럼 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게 한다. 그 표준대로 생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나눠 달라고 한다.

  • 이 개요에 제시된 비디오들 중 하나를 보여 준다. 청남들에게 그 비디오에서 우리 몸을 깨끗하게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비유나 유추를 찾아보고 토론하게 한다. 그들은 어떻게 비디오에서 가르치는 표준대로 생활하도록 서로를 격려할 수 있는가?

  • 청남들에게 청소년의 힘을 위하여 책자에서 “복장과 외모” 부분을 활용하여 다음 질문들에 답하게 한다. “정숙함에 대한 주님의 표준은 무엇인가?” “이 표준들을 따르는 것이 왜 중요한가?” “정숙함은 어떻게 우리가 가진 몸의 성스러움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는가?”

청남들에게 오늘 배운 것들을 나눠 달라고 한다. 그들은 이제 그들의 몸이 성스럽다는 것을 더 잘 이해하고 있는가? 그들은 어떤 생각과 느낌을 가지고 있는가? 더 궁금한 부분이 있는가? 이 교리에 시간을 더 할애할 필요가 있겠는가?

교수 조언

“특정 주제와 관련해 모든 것을 다 가르치려고 하지 않는다. 반원들은 이미 해당 주제에 대해 알고 있을 수도 있다. 교사가 전하는 공과만이 반원들이 그 주제에 대해 배우게 되는 유일한 길이라는 생각은 갖지 않는다.”(교사, 가장 중요한 부름, 1999년, 99쪽)

행하도록 권유함

사회를 보는 청남이 모임을 마친다. 그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 우리 몸을 소중히 다룸으로써 온 축복들에 대해 간증한다.

  • 정원회 회원들과 하나님에 대한 의무 책자에서 “육체적 건강”(31~33쪽) 부분을 함께 완수할 계획을 세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