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학습자들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학습자들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교사 발전 기법』(2022)

“학습자들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교사 발전 기법』

가르치는 사람들을 사랑한다

학습자들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기법: 학생들과 소통할 때 그리스도와 같은 분별력, 사랑, 공감의 영을 불러오는 질문에 잠시 멈추고, 성찰하며, 답을 생각해 본다.

이 훈련은 학생들이 우리와 다른 기본 전제에서 영원한 진리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가지 상호 연결된 기법 중 첫 번째 기법을 다룬다. 학생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됨에 따라 우리가 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키우도록 도울 때, 그들에게 사랑과 공감으로 응하는 우리의 역량도 더 커질 것이다.

이 훈련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수업을 준비하는 동안 그리고 수업 시간에 학생들의 의견이나 질문에 집중할 때, 잠시 멈추고, 성찰하며, 스스로 질문하고 답함으로써 학생의 전제를 파악한다.

  2. 학생의 질문, 느낌, 믿음의 진정한 의도를 명확히 하며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 학생이 영원한 관점에서 자신의 전제를 검토하거나 재구성하도록 돕는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훈련은 차후에 진행될 것이다.

이 훈련은 다음 기법에 중점을 둘 것이다.

  • 수업을 준비하는 동안 그리고 수업 시간에 학생들의 의견이나 질문에 집중할 때, 잠시 멈추고, 성찰하며, 스스로 질문하고 답함으로써 학생의 전제를 파악한다.

정의하기

수업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은 다양한 삶의 경험과 인간관계를 통해 복음 진리에 관해 생각하고 느끼는 방식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은 보통 기본 전제라고 하는, 한 개인이 가진 사고의 출발점이 된다. 개인의 기본 전제를 파악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처럼 공감과 사랑으로 진리를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본 전제가 다르다고 해서 교리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각 학습자의 필요 사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 결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의 관점을 볼 수 있게 해준다.

공과를 준비하는 동안 교사는 잠시 멈추고, 성찰하며, 다음 질문에 답하면서 영원한 진리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 학생들의 경험과 인간관계가 그들이 이러한 진리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방식과 그 진리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을까?

  • 우리가 이 진리를 공부하는 동안 학생 중에서 그들이 처한 상황으로 인해 소외되거나 괴로워하거나 마음에 상처를 입을 사람이 있는가?

수업 중이나 대화 중에 학생의 의견이나 질문에 집중하면서 교사는 다음과 같이 자문할 수 있다.

  • “이 학생은 어떤 경험과 인간관계를 통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일까?”

  • “그들의 관점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무엇을 더 알아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은 성신을 초대하고 우리의 관계에 그리스도와 같은 분별력, 사랑, 공감의 영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학생들을 무시하거나 그들에게 비판적이거나 방어적인 방식으로 반응하지 않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질문은 우리가 반원들을 축복하고 다른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키우도록 돕는 방식으로 진리를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시범 사례(수업 준비 중)

성신의 인도하심을 따르는 것에 대한 수업을 준비하면서 다음 질문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다. “학생들의 경험과 인간관계가 그들이 이러한 진리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방식과 그 진리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가?” “이 진리를 공부하는 동안 학생 중에서 이 교리와 관련하여 자신의 상황이 이상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어려움을 겪거나 소외감을 느끼거나 괴로워하거나 상처를 입을 사람이 있는가?”

그런 다음 이렇게 대답한다. “학생 중에는 한 번도 영의 속삭임을 받은 적이 없다고 느끼거나 성신이 그들에게 말씀하신다고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거야. 자신이 합당하지 않다고 느끼는 학생들도 있을 수 있어. 학생들은 영의 속삭임이 성신에게서 오는 것인지 확신할 수 없을 때가 있을 거야. 영을 따른다는 이야기를 듣는 것에 진력이 난 학생들이 있을 수도 있지. 왜냐하면 그런 이야기들은 항상 너무 기적처럼 보이고 그들에게는 그런 일이 절대 일어나지 않으니까.”

연습하기(수업 준비 중)

니파이전서 3장 7절 “내가 가서 주께서 명하신 일들을 행하겠나이다” 수업을 준비하면서 이렇게 한다.

  • 성찰하고 답한다: “학생들의 경험과 인간관계가 어떻게 이러한 진리를 생각하고 느끼고 그 진리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을 형성할 수 있는가?” “이 진리를 공부하는 동안, 학생 중에서 이 교리와 관련하여 자신의 상황이 이상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어려움을 겪거나 소외감을 느끼거나 괴로워하거나 상처를 입을 사람이 있는가?”

“성 인지와 영원한 정체성”이라는 제목의 수업에서 우리의 영원한 정체성과 목적의 본질적인 특성으로서의 성 인지에 관한 수업을 준비하는 동안 이렇게 한다.

  • 성찰하고 답한다: “학생들의 경험과 인간관계가 어떻게 이러한 진리를 생각하고 느끼고 그 진리에 따라 생활하는 방식을 형성할 수 있는가?” “이 진리를 공부하는 동안, 학생 중에서 이 교리와 관련하여 자신의 상황이 이상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어려움을 겪거나 소외감을 느끼거나 괴로워하거나 상처를 입을 사람이 있는가?”

시범 사례(수업 중)

한 학생이 안식일의 교리에 관해 토론하면서 “우리 가족은 일요일에 스포츠 경기 관람을 즐겨요.”라고 말한다. 학생의 의견에 집중하며 이것을 생각해 본다. “이 학생은 어떤 경험과 인간관계를 통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일까?” “이 학생의 관점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무엇을 더 알아야 하는가?”

연습하기(수업 중)

선교 사업에 관해 토론하는 동안, 한 학생이 “모든 청남이 선교사로 봉사하는 것이 뭐 그렇게 대수인가요?”라고 묻는다.

  • 이렇게 조용히 생각해 본다. “이 학생은 어떤 경험과 인간관계를 통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일까?” “이 학생의 관점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무엇을 더 알아야 하는가?”

선지자와 계시에 관한 토론에서 한 학생이 이렇게 묻는다. “교회 정책은 언제쯤 세상에 뒤처지지 않고 따라잡게 될까요?”

  • 이것에 대해 조용히 생각한다. “이 학생은 어떤 경험과 인간관계를 통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일까?” “이 학생의 관점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무엇을 더 알아야 하는가?”

이 시범 사례에 관한 동영상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한다.

토론 또는 숙고하기

  • 수업 전이나 수업 중에 학생들의 기본 전제를 파악하는 연습을 할 때 공감하는 마음으로 진리를 가르치는 것에 대해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

  • 이 연습은 좀 더 예수 그리스도처럼 가르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적용하기

위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음 2주 동안 그것에 집중한다. 이러한 기법을 어떻게 계속 연습할지 계획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 각각의 진리를 준비할 때, 학생의 기본 전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질문에 잠시 멈추고, 성찰하고, 질문에 답하는 데 5분을 할애할 수 있다.

  • 수업을 하기 전에 학생을 파악하고 그들이 각각의 진리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의견이나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본다. 그런 다음 조용히 생각한다. “이 학생은 어떤 경험과 인간관계를 통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일까?” “이 학생의 관점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무엇을 더 알아야 하는가?” 이렇게 하면 수업 중에 학생의 의견과 질문에 집중하면서 기본 전제를 파악할 준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알아보고 싶은가?

  • 채드 에이치 웹, “공감”(세미나리 및 종교 교육원 연례 훈련 방송, 2021년 1월 26일), broadcasts.ChurchofJesusChrist.org

  • 진 비 빙엄, “사랑의 언어로 진리를 가르침” (세미나리 및 종교 교육원 연례 훈련 방송, 2021년 1월 26일), broadcasts.ChurchofJesusChrist.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