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구약전서
1월 31일~2월 6일. 창세기 6~11장; 모세서 8장: “노아는 여호와께 은혜를 입었더라”


“1월 31일~2월 6일. 창세기 6~11장; 모세서 8장: ‘노아는 여호와께 은혜를 입었더라’”,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구약전서』(2021)

“1월 31일~2월 6일. 창세기 6~11장; 모세서 8장”,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2022』

이미지
노아와 그의 가족, 동물들, 방주, 무지개

방주를 떠나는 노아 삽화, 샘 롤러

1월 31일~2월 6일

창세기 6~11장; 모세서 8장

“노아는 여호와께 은혜를 입었더라”

어린이들은 노아의 방주에 탔던 동물들과 높이 솟은 바벨탑에 대해 배우면서 재미있다고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들의 목적은 영원한 진리를 가르치기 위한 것임을 기억한다. 하나님께서 어린이들에게 일깨우시고자 하는 진리가 무엇인지 기도하는 마음으로 숙고한다.

느낌을 기록한다

이미지
나누기 아이콘

나누도록 권유한다

창세기 6~11장모세서 8장에 나오는 이야기를 어린이들에게 가르치기 전에 노아와 방주, 또는 바벨탑에 대해 그들이 아는 것을 서로에게 가르쳐 볼 기회를 준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

창세기 6:14~22; 7~8장; 모세서 8:16~30

선지자를 따르면 나와 내 가족이 축복을 받아요.

노아의 가족이 홍수가 나도 안전하게 보호받았듯이, 어린이들도 선지자를 따르는 법을 배우면 축복을 받고 영적으로 안전하게 보호될 것이다.

활동 아이디어

  • 노아와 방주 이야기를 들려준다.(『구약전서 이야기』 “노아” 참조; 또한 “선지자 따라”, 『어린이 노래책』, 58~59쪽, 3절 참조) 도구를 가지고 방주를 짓는 시늉을 하거나 방주로 들어가는 동물 흉내를 내는 등 어린이들에게 이야기의 일부를 동작으로 표현해 보게 한다.

  • 어린이들에게 모세서 8장 19~20절을 읽어 주면서 주님께서 노아에게 무엇을 하도록 명하셨는지 강조한다. 노아는 선지자였으며 그의 가족은 노아를 따랐기 때문에 홍수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점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어린이들에게 오늘날의 선지자가 누구인지 아느냐고 물어본다. 선지자의 사진을 보여 주고 그의 이름을 반복해서 말해 보게 한다.

  • 경전이나 성전 사진처럼 현재 선지자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사진이나 물건을 가져온다. 어린이들에게 돌아가면서 물건을 하나 고르게 한 후 그것에 대해 아는 것을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그 물건이 상징하는 의미를 설명해 준다. 선지자의 가르침에 순종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 보라고 한다. 선지자를 따를 때 오는 축복에 대한 여러분의 간증을 전한다.

창세기 9:15~16

하나님은 우리에게 하신 약속을 지키실 거예요.

하나님께서는 당신이 하신 약속을 지키신다는 것을 어린이들이 아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침례를 통해 하나님과 성약을 맺을 준비를 하는 어린이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무지개를 그려 보라고 한다. 창세기 9장 15~16절을 읽어 주면서, 기억하리라는 말이 언제 나오는지 잘 들어 보라고 한다. 그 말이 나오면 자신이 그린 무지개를 들어 올리라고 한다. 무지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하신 약속을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 몇 가지를 함께 이야기해 본다. 예를 들어,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면 하나님 아버지께 돌아갈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위로하시기 위해 성신을 보내실 것이다와 같은 약속 등이 있다. 하나님은 항상 그분의 약속을 지키신다는 간증을 전한다.

  • 침례받는 어린이 사진, 성찬 사진, 성전 사진(『복음 그림책』, 104, 108, 120번 참조) 등과 같은 이미지를 사용하여 우리가 하나님과 맺는 성약에 대해 설명한다.

창세기 11:1~9

하늘에 이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거예요.

바벨 백성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대로 살기보다는 탑을 세워야 하늘에 닿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나님 아버지께 돌아가는 유일한 방법은 구주를 따르는 것임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바벨탑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구약전서 이야기』에 나오는 “바벨탑” 이야기를 읽어 준다. 어린이들에게도 그 이야기에 대해 아는 내용을 말해 보도록 권유함으로써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이미지
    바벨탑 그림

    바벨탑 그림, 데이비드 그린

  • 어린이들에게 블록이나 다른 물건으로 탑을 쌓아 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구주 그림을 보여 주고, 탑을 쌓는 것과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 중 어떤 것이 하나님 아버지께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인지 물어본다. 어린이들에게 구주를 따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말해 보라고 한다.

이미지
가르치기 아이콘

교리를 가르친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

창세기 6:14~22; 7~8장; 모세서 8:16~30

선지자를 따르면 나와 내 가족이 축복을 받을 것입니다.

어린이들이 자라고 있는 세상은 어떤 의미에서는 노아 시대의 세상만큼이나 사악하다. 어린이들은 노아의 경험을 통해 그들이 선지자를 따를 때 영적인 안전을 찾을 수 있다는 확신을 얻을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창세기 6장 14~22절7~8장에서 몇 구절을 골라 그림으로 그려 보라고 한다. 어린이들이 그린 그림을 활용하여 노아의 이야기를 가르친다. 어린이들에게 그 이야기에서 배운 것을 말해 보라고 한다.

  • 노아의 그림과(『복음 그림책』, 7~8번 참조) 현재 선지자의 사진을 보여 준다. 모세서 8장 16절, 19~20절, 23~24절에서 노아가 가르친 것 중에 오늘날 교회 지도자들도 가르치는 것을 어린이들이 찾아보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가르침에 순종할 때 우리는 어떤 축복을 받는가?

  • 현재의 선지자가 최근에 가르친 내용을 들려준다. 어린이들에게 선지자가 가르친 내용을 쪽지에 적어 그것을 방주 모양으로 배열하게 한다. 이러한 가르침은 노아가 지은 방주와 어떤 점에서 비슷한가?

창세기 9:15~17

우리는 우리가 맺은 성약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침례받을 때 하나님의 계명에 순종하겠다는 성약을 그분과 맺는다. 창세기 9장 15~17절에서 무지개는 하나님의 언약의 증거로 나온다. 어린이들은 이 구절을 읽으면서 하나님과 맺은 성약을 기억할 방법을 찾으라는 영감을 받을 수 있다.

활동 아이디어

  • 결혼 반지나 사진, 일기장처럼 여러분의 삶에서 중요한 것들을 상기시켜 주는 물건들을 어린이들에게 보여 준다. 어린이들도 그런 물건들에 대해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 창세기 9장 15~17절을 함께 읽는다.(또한 조셉 스미스 역, 창세기 9:21~25[경전 안내서] 참조)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무지개를 볼 때 무엇을 떠올리기를 바라시는가?

  • 어린이들이 침례받을 때 맺은 후, 성찬을 취할 때마다 새롭게 하는 성약들을 상기시켜 준다.(모사이야서 18:8~10; 교리와 성약 20:77, 79 참조) 어린이들에게 그들이 맺은 성약을 기억나게 할 무언가를 그리거나 만들어 보라고 한다.

창세기 11:1~9

하늘에 이르는 유일한 방법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입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하늘에 오르기 위해 탑을 쌓지는 않겠지만, 예수 그리스도께서 마련하신 길이 아닌 길을 따름으로써 평안과 행복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많다. 여러분은 이 원리를 가르치기 위해 바벨탑 이야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활동 아이디어

  • 어린이들에게 바벨탑 이야기에 관해 아는 것을 말해 보라고 한다.(창세기 11:1~9 참조) 힐라맨서 6장 28절에 따르면, 바벨 사람들은 왜 탑을 쌓았는가? 이 탑을 쌓는 것이 하늘에 이르는 잘못된 방법이었던 까닭은 무엇인가? 우리는 바벨 사람들에게 어떤 충고를 할 수 있을까?

  • 어린이들에게 니파이후서 31장 20~21절힐라맨서 3장 28절에서 하늘에 이르는 올바른 길을 찾아보라고 한다. 구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여러분의 간증을 전한다.

이미지
배우기 아이콘

가정에서 학습하도록 격려한다

어린이들에게 초등회에서 배운 이야기를 가족들에게 어떤 방법으로 가르쳐 볼지 생각해 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은 자신이 그린 그림이나 이번 주 활동 그림을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여러분이 가르치는 어린이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어린이들을 가르칠 때는 그들의 질문과 의견, 그리고 그들에게 특히 의미 있어 보이는 이야기나 원리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이러한 것들을 알면 그들이 필요로 하는 바에 초점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