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구약전서
7월 18일~24일. 에스라 1장; 3~7장; 느헤미야 2장; 4~6장; 8장: “내가 이제 큰 역사를 하니”


“7월 18일~24일. 에스라 1장; 3~7장; 느헤미야 2장; 4~6장; 8장: ‘내가 이제 큰 역사를 하니’”,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2022 구약전서』(2021)

“7월 18일~24일. 에스라 1장; 3~7장; 느헤미야 2장; 4~6장; 8장”,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2022』

이미지
스룹바벨 성전

스룹바벨 성전 삽화, 샘 롤러

7월 18일~24일

에스라 1장; 3~7장; 느헤미야 2장; 4~6장; 8장

“내가 이제 큰 역사를 하니”

에즈라 태프트 벤슨 회장은 이렇게 가르쳤다. “하나님의 말씀은 성도를 강화하고 영으로 무장시켜서 악을 물리치고 선을 계속 굳게 붙들게 하며 이생에서 기쁨을 찾을 수 있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교회 회장들의 가르침: 에즈라 태프트 벤슨』(2014), 118쪽)

느낌을 기록한다

유대인들은 약 70년 동안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있었다. 그들은 예루살렘과 성전을 잃었으며, 많은 이들이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결의를 잊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잊지 않으셨다. 오히려 하나님께서는 선지자를 통해 이렇게 선포하셨다. “내가 너희를 돌보고 나의 선한 말을 너희에게 성취하여 너희를 이곳으로 돌아오게 하리라.”(예레미야 29:10) 주님께서는 그 예언대로 유대인들이 돌아올 방편을 마련하셨으며, 종들을 일으켜 세우셔서 당신의 백성을 위해 “큰 역사”를 성취하게 하셨다.(느헤미야 6:3) 이러한 종들에는 주님의 집 재건을 감독했던 총독 스룹바벨, 백성들의 마음을 주님의 율법으로 돌이켰던 제사장이자 서기관인 에스라, 예루살렘을 둘러싸는 방어 성벽 재건축 사업을 이끈 유다 총독 느헤미야 등이 있었다. 그들은 물론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지만, 예상치 못했던 곳으로부터 지원도 받았다. 그들의 경험은 우리의 일에 영향과 영감을 줄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 역시 큰 역사를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일도 주님의 집, 주님의 율법, 그리고 우리가 그분 안에서 찾는 영적 보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에스라와 느헤미야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아보고 싶다면 경전 안내서의 “에스라”와 “느헤미야”를 참고한다.

이미지
개인 학습 아이콘

개인 경전 공부를 위한 아이디어

에스라 1장

주님께서는 사람들이 당신의 목적을 성취하도록 영감을 주신다.

바사가 바벨론을 정복하고 난 후, 바사 왕 고레스는 주님으로부터 성전을 재건하기 위해 한 무리의 유대인을 예루살렘으로 보내라는 영감을 받았다. 에스라 1장을 읽으면서, 고레스가 이 중요한 일에서 유대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기꺼이 하고자 한 일에 주목한다. 주님께서는 당신의 교회 회원이 아닌 사람들을 포함하여 여러분 주변의 사람들을 통해 어떻게 일하시는가? 이를 통해 우리는 주님과 그분의 일에 관하여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또한 이사야 44장 24~28절을 참고한다.

에스라 3:8~13; 6:16~22

성전은 나에게 기쁨을 가져다줄 수 있다.

바벨론인들은 예루살렘을 침공했을 때 성전을 약탈하고 전소시켰다.(열왕기하 25:1~10; 역대하 36:17~19 참조) 여러분이 유대인들과 함께 이 일을 목격했다면 어떤 심정이었겠는가?(시편 137편 참조) 수십 년 후에 유대인들이 다시 돌아와 성전을 재건하도록 허락을 받았을 때 그들의 마음이 어땠는지에 주목한다.(에스라 3:8~13; 6:16~22 참조) 성전에 대한 여러분의 느낌을 숙고해 본다. 성전이 기쁨의 근원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전을 주신 주님께 감사하는 마음을 여러분은 어떻게 나타내 보일 수 있을까?

이미지
성전 경내를 걷는 가족

성전은 우리 삶에서 기쁨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에스라 4~6장; 느헤미야 2장; 4장; 6장

나는 반대에 부딪힐지라도 하나님의 일이 진척되도록 도울 수 있다.

주님의 일이 반대에 부딪히지 않고 진행되는 일은 드물며, 스룹바벨과 느헤미야가 추진하던 일도 분명히 그랬었다. 이 두 가지 경우에서 “유다[의] … 대적”(에스라 4:1)은 사마리아인이었다. 그들은 이방인과 혈통이 섞인 이스라엘 백성의 후손이었다. 그들이 성전 건축을 반대했던 일에 대해 읽으면(에스라 4~6장 참조), 여러분은 오늘날 하나님의 일을 가로막는 방해 세력에 대하여, 또 여러분이 반대에 부딪칠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느헤미야가 맡은 예루살렘 성벽 보수 작업에 대해 읽으면(느헤미야 2장; 4장; 6장 참조) 하나님께서 여러분이 하기를 바라시는 일에 관해 생각해 보게 될 것이다. 여러분은 느헤미야의 모범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또한 디이터 에프 우흐트도르프, “우리가 이제 큰 역사를 하니 내려가지 못하겠노라”, 『리아호나』, 2009년 5월호, 59~62쪽을 참고한다.

에스라 7장; 느헤미야 8장

나는 경전을 공부할 때 축복을 받는다.

성전이 재건된 다음에도 예루살렘 사람들은 영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그렇게 된 이유 중 하나는 그들이 수 세대 동안 “모세의 율법책”을 접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느헤미야 8:1) 서기관 에스라는 바사 왕에게 허락을 받아 예루살렘으로 갔으며, 그곳에서 그는 “율법책을 가지고 회중 앞”에 이르렀다.(느헤미야 8:2) 여러분은 에스라 7장 10절에 기록된 에스라의 모범을 어떻게 따를 수 있을까? 느헤미야 8장에서 에스라가 사람들에게 율법책을 읽어 주는 기사를 읽으면서, 여러분은 자신의 삶에 미치는 하나님 말씀의 권능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게 되는가?

또한 『교회 회장들의 가르침: 에즈라 태프트 벤슨』, 115~124쪽을 참고한다.

이미지
가족 학습 아이콘

가족 경전 공부 및 가정의 밤을 위한 아이디어

에스라 3:8~13; 6:16~22.유대인들은 성전이 재건되는 동안 그리고 성전이 헌납되었을 때 성전에 대한 그들의 기쁨을 어떻게 표현했는가? 우리는 성전에 대한 기쁨을 보이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여러분의 가족은 성전 사진을 보면서 성전이 어떻게 기쁨을 가져다주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temples.ChurchofJesusChrist.org 참조)

에스라 7: 6, 9~10, 27~28.이 성구에서 에스라는 예루살렘으로 가는 동안 자신에게 주님의 손길이 임했다고 몇 차례 기록했다. 이 구절의 의미는 무엇일까? 우리는 주님의 손길이 우리에게 임하는 것을 어떻게 느꼈는가? 가족들은 자신의 삶에서 그런 예를 찾아 이야기해 볼 수 있다.

느헤미야 2장; 4장6장.느헤미야의 이야기는 가족들이 “큰 역사”를(느헤미야 6:3 ) 행하면서 반대에 직면하게 될 때 용기를 북돋아 줄 수 있다. 가족들은 핵심 성구들을 함께 읽으면서 집 주변에 있는 물건으로 벽을 쌓아 볼 수 있다.(느헤미야 2:17~20; 4:13~18; 6:1~3 등) 반대에 맞서는 일에 대해 느헤미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주님께서는 우리가 어떤 큰 역사를 행하기를 바라실까? 주님께서는 이 일에 대한 반대를 이겨 내도록 우리를 어떻게 강하게 하셨는가?

느헤미야 8:1~12.느헤미야 8장에서 에스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간절히 듣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모세의 율법책을 읽어 주었다. 가족들이 1~12절을 읽으면 하나님의 말씀에 감사하는 마음이 더욱 깊어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사람들은 하나님의 율법을 어떻게 여겼는가? 우리는 “[읽]는 것을 … 깨닫”도록 서로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8절)

자녀를 가르치기 위해 더 많은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면,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교재의 이번 주 학습 개요를 참고한다.

추천곡: “나 성전 보고 싶어”, 『어린이 노래책』, 99쪽.

교수법을 향상한다

가족들과 서로 성구를 나눈다. 개인적으로 경전을 공부하면서 자신에게 특별히 의미가 있었던 구절을 가족 경전 공부 시간에 서로 이야기해 본다.

이미지
사람들에게 경전을 읽어 주는 에스라

예루살렘에서 백성들에게 경전을 읽어 주는 에스라 삽화, 에이치 윌라드 오틀립, © Providence Collection/licensed from goodsal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