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교리 익히기: 모로나이서 7:45~48—“이 사랑은 그리스도의 순수한 사랑이라”


“교리 익히기: 모로나이서 7:45~48—이 사랑은 그리스도의 순수한 사랑이라”, 『몰몬경 교사 교재』(2024)

“모로나이서 7:45~48”, 『몰몬경 교사 교재』

교리 익히기: 모로나이서 7:45~48

“이 사랑은 그리스도의 순수한 사랑이라.”

이미지
포옹하는 두 여성

여러분은 모로나이서 7장 44~48절을 공부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순수한 사랑인 자애를 키우기 위해 노력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 수업은 모로나이서 7장 45~48절에 대한 교리 익히기 성구 출처와 성구 핵심 문구를 암기하고, 이 구절에서 가르치는 교리를 설명하며, 영적인 지식을 얻는 원리를 실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상황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설명하고 암기한다

다음 시나리오를 통해 사랑의 신성한 속성을 설명하는 연습을 해 본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상상해 본다. 가족과 함께 『와서 나를 따르라』 토론을 하며 자애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여러분의 남동생이 “자애는 그냥 사람들에게 잘해 주는 거 아냐?”라고 말한다. 여러분은 잘해 주는 것도 자애의 일부이지만 세미나리에서 자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웠다고 설명한다.

  • 여러분의 남동생에게 자애에 대해 어떤 설명을 더 해주겠는가?

이미지
아이콘, 기록하기
  1. 모로나이서 7장 45~48절에 나오는 가르침과 여러분의 말로 자애의 의미를 두세 문장으로 설명한다.

성구 출처 및 성구 핵심 문구를 암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음 아이디어를 사용한다. 또는 암기에 가장 도움이 되는 다른 방법을 선택해도 좋다.

학습 일지에 커다란 하트를 그린다. 다음 이미지를 보고, 하트 그림 안에 성구 출처 및 성구 핵심 문구를 올바르게 적는다.

이미지
선으로 된 하트 주위로 무작위로 나열된 모로나이서 7장 45~48절에 대한 성구 출처 및 성구 핵심 문구

성구 출처와 성구 핵심 문구를 외울 때까지 여러 차례 반복해서 말한다. 이 그림을 잘라서 자주 볼 수 있는 곳에 두면 좋을 것이다.

적용 연습

영적인 지식을 얻는 원리를 복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다음 세 문구를 고치고 그 의미를 설명해 본다. 도움이 필요하다면, 『교리 익히기 핵심 자료』(2023)에 나오는 “영적인 지식을 얻음” 부분의 5~12단락을 공부한다.

  1. 신앙으로 검토한다.

  2. 주님께서 정하신 지식의 관점을 통해 더 깊은 이해를 구한다.

  3. 영원의 출처로 개념과 질문을 행한다.

다음 시나리오를 읽는다.

  • 윤후는 동생들 때문에 짜증이 날 때가 많다. 동생들은 자주 윤후에게 같이 놀아 달라거나 숙제를 도와 달라고 조른다. 윤후는 방해받지 않고 자기 할 일을 할 수 있도록 동생들이 자신을 좀 내버려 두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 해원은 청녀 반의 한 여학생이 자신에 대한 근거 없는 소문을 퍼뜨리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해원은 당황하고 상처를 받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 강호는 학교에서 인기 있고 친구들 앞에서 두려움이 없는 모습으로 비치길 원한다. 그는 자주 반 친구들을 비하하고 허락 없이 친구들의 물건을 가져간다.

  1.  앞에 나온 시나리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한다. 여러분이 해당 시나리오에 나온 주인공을 돕고자 한다고 상상해 본다. 다음 제목마다 하나 이상의 질문에 답한다.

주님이 정하신 지식의 출처를 통해 더 깊은 이해를 구한다

  • 이 사람이 자신의 상황에서 더 큰 사랑으로 대응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여러분은 모로나이서 7장 45~48절의 어떤 내용을 나누겠는가?

  • 도움이 될 만한 다른 성구나 교회 지도자의 말씀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신앙으로 행한다

  • 여러분이 전한 말씀을 실천하려 할 때 이 사람은 어떤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을까?

  • 이러한 어려움에 직면하더라도 이 사람은 어떻게 신앙으로 행동할 수 있을까?

영원의 관점에서 개념과 질문을 검토한다

  • 이 상황을 영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이 사람이 타인에 대해 더 깊은 자애를 느끼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

  • 예수 그리스도께서 다른 사람들을 대하신 방식을 살펴보는 것은 이 사람이 좀 더 자애로운 사람이 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