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교리 익히기: 이더서 12:27—우리의 연약함을 극복함


“교리 익히기: 이더서 12:27—우리의 연약함을 극복함”, 『몰몬경 교사 교재』(2024)

“교리 익히기: 이더서 12:27”, 『몰몬경 교사 교재』

교리 익히기: 이더서 12:27

우리의 연약함을 극복함

이미지
근육을 자랑하는 청녀

이더서 12장 23~27절을 공부하면서 여러분은 우리가 겸손하고 주님을 믿는 신앙을 행사하면 그분께서 우리의 약점을 강점으로 바꾸실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이 수업은 이더서 12장 27절의 교리 익히기 성구 출처와 성구 핵심 문구를 암기하고, 교리를 설명하고, 실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상황에서 영적인 지식을 얻는 원리를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설명하고 암기한다

이더서 12장 27절을 보지 않고 주께서 모로나이에게 주신 가르침에 근거하여 이 문장의 빈칸을 채울 수 있는지 본다.

  • 만일 내가 , , (하)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를 위하여 연약한 것들을 강하게 해 주실 것이다.

  • 이 문장에서 기억해야 할 중요한 내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성구 출처와 성구 핵심 문구를 모두 암기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출처와 핵심 문구 모두를 몇 번씩 복습한 후 학습 일지에 암기하여 적어 본다.

이더서 12:27: “만일 사람들이 내게로 오면 … 내가 그들을 위하여 연약한 것들을 강하게 되게 할 것임이니라.”

암기하여 적은 것을 위의 성구 출처와 성구 핵심 문구와 비교하고 필요한 부분을 수정한다. 성구 출처와 성구 핵심 문구를 서너 번 더, 또는 외워 쓸 수 있을 때까지 적어본다.

적용 연습

영적인 지식을 얻는 세 가지 원리를 외워서 떠올려 보고, 이를 여러분의 학습 일지에 적는다. 가능하다면, 각 원리에 대한 간략한 설명도 적는다. 필요하다면 『교리 익히기 핵심 자료』(2023)의 “영적인 지식을 얻음” 부분의 5~12 단락에서 이러한 원리를 복습한다.

  1. 다음 활동을 완료한다.

  • 청소년들이 무력감이나 미흡함을 느끼게 만드는 약점들을 학습 일지에 적어 본다.

  •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많은 청소년들이 흔히 갖고 있는 약점 중 하나를 선택하고, 청소년이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영적인 지식을 얻는 원리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기록한다.

  •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은 학습 일지에 집중적으로 개선하고 싶은 약점을 적고, 그 아래에 영적인 지식을 얻는 각각의 원리를 적는 것이다. 그런 다음 각 원리 아래에는 원리를 약점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적을 수도 있고, 또는 누군가가 해당 원리에 대해 할 수도 있는 질문을 적는다.

예를 들어, “청소년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낸다”와 같은 약점이나 우려를 선택한다면, 학습 일지에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낸다

신앙으로 행한다

  • 스마트폰 과다 사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은 이 문제에 대한 도움을 받기 위해 더 구체적으로 기도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도하기 전에, 그들은 그날 어떤 도움이 필요할지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다. 또는 휴대폰을 사용하기 전에도 기도할 수 있다.

  • 하나님께서는 우리 삶을 축복하고 우리와 다른 사람들이 그분께 더 가까이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에게 디지털 기술을 주셨다. 어떻게 하면 삶에서 주님의 뜻에 따라 디지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가?

  • 이더서 12:27: 우리는 어떻게 주님께 우리가 겸손하고, 그분을 신뢰하며, 이 약점을 극복하는 데 그분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드릴 수 있겠는가?

영원의 관점

  • 누군가가 이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이것은 그 사람의 미래의 인간관계, 직업, 영원한 삶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겠는가?

  • 나는 하나님과 그분의 표준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 우리가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그분께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주님이 정하신 지식의 출처

  • 나는 감독님이 이것에 대해 말씀하셨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감독님 본인이 어떤 것들을 하셨는지에 대해 말씀하신 것을 기억한다. 감독님이 어떤 출처를 사용했는지, 그리고 어떤 것이 감독님에게 도움이 되었는지 물어볼 것이다.

끝마쳤으면, 위 활동을 다시 한다. 이번에는 주님의 도움을 받고 싶은 여러분의 특정한 약점에 초점을 맞춘다. 여러분은 작성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지 않아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