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모사이야서 27:24~37: “하나님에게서 났나이다”


“모사이야서 27:24~37: 하나님에게서 났나이다”, 『몰몬경 교사 교재』(2024)

“모사이야서 27:24~37”, 『몰몬경 교사 교재』

모사이야서 27:24~37

“하나님에게서 났나이다”

이미지
기도 중인 앨마 이세

앨마 이세와 모사이야의 아들들의 회개는 자신이 변화할 수 있는지 의심하는 모든 사람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 구주께서는 “죄인 중에 가장 비천한 자들”(모사이야서 28:4)이었다고 묘사된 이 청년들을 “의로움의 상태”(모사이야서 27:25)로 변화하도록 도와주셨다. 이번 과는 여러분이 회개하도록 돕고, 구주께서 여러분의 마음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표현하도록 돕는다.

변화

자연에서 동일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들을 생각해 본다. 한 가지 예가 다음 그림에 나와 있다.

이미지
애벌레와 나비
  • 애벌레가 나비가 되는 것과 우리의 영적 진보는 어떻게 비슷한가?

  •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변화되고 그분처럼 되는 일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셨는가?

더욱 하나님처럼 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잠시 생각해 본다. 자신에 대해 바꾸거나 개선하고 싶은 면이 있는가? 여러분이 바라는 대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여러분이 직면할 수도 있는 장애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오늘 여러분은 몇몇 청년들의 삶에서 구주께서 일으키신 기적적인 변화를 공부하게 될 것이다. 공부하면서, 구주께서 어떻게 나의 변화를 도우실 수 있는지 가르치는 영의 속삭임에 귀를 기울인다.

앨마 이세와 모사이야의 아들들

이미지
앨마 이세와 모사이야의 아들들에게 나타나는 천사

모사이야서 27장의 첫 부분에는 앨마의 기도에 하나님께서 응답하신 이야기가 담겨 있음을 떠올려 본다. 하나님께서는 앨마 이세와 모사이야 왕의 아들들에게 그들이 가고 있는 길이 잘못되었음을 납득시키기 위해 천사를 보내셨다. 앨마 이세는 이 사건 이후 며칠 동안 말을 하거나 움직일 수 없었다.(모사이야서 27:19, 23 참조) 그 기간 동안 그는 자신의 죄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을 경험했다. 그가 마침내 다시 말할 수 있게 되었을 때, 그는 주님께서 자기를 위해 하신 일을 설명하였다.

종이 맨 위에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변화할 수 있다”라고 쓴다. 그런 다음 두 개의 세로선을 그려 종이를 세 개의 동일한 열로 나눈다. 왼쪽 열에는 “이전”, 가운데 열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 오른쪽 열에는 “이후”라고 쓴다.

모사이야서 27장 8~10절28장 4절을 읽고 앨마 이세와 모사이야의 아들들이 과거에는 어떠했는지 살펴본다. 종이의 “이전” 열에 해당 내용을 적는다.

이제 모사이야서 27장 32~37절을 읽고 “이후” 열에 그들이 어떤 사람이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다.

잠시 멈추고, 구주를 믿는 신앙으로 회개한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변화에 대해 여러분이 목격한 것들을 생각해 본다.(자신에 대해 생각할 수도 있다.) 그들 또는 여러분 자신에게 이러한 변화가 있기 전과 후가 어떠하였는지 표에 추가하여 적는다.

모사이야서 27장 23~26절을 읽고 우리가 구주처럼 되는 데 필요한 변화를 설명하는 구절을 찾는다. 다음 문구들의 의미를 이해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육신에 속한” (25절)이라는 말은 세속적이거나 육욕적이라는 뜻이다. “[하나님]의 아들과 딸이 [된다]”(25절)는 말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얻[는]”(26절) 자들을 뜻하기도 한다.

여러분의 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 열에 인상 깊은 문구들을 적는다. 잠시 시간을 내어 그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본다. 필요한 경우 경전 안내서에서 이해가 필요한 단어를 찾아본다.

이 구절에서 가르치는 한 가지 진리는 다음과 같다. 모든 인류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변화되어야 한다.

이미지
icon, record
  1. 다음 질문에 답한다.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가능해진 변화를 설명하는 문구 중 여러분에게 가장 큰 의미를 갖는 것은 무엇인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 구주께 용서받는 것은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 24절에 따르면, 구주께 우리를 변화시켜 달라고 구하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변화는 사건이 아니고 과정이다

십이사도 정원회의 닐 엘 앤더슨 장로는 이렇게 가르쳤다.

앨마에게 그랬던 것처럼, 어떤 사람들에게는 회개의 과정이 극적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예외적인 일입니다. 우리 대부분은 한 걸음씩 나아갑니다. 더 많은 선, 더 많은 성약, 더 많은 봉사와 헌신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한 뼘 한 뼘 나아갑니다. (닐 엘 앤더슨, 『하늘이 주는 선물 용서』[2019], 11)

  • 앤더슨 장로의 말씀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시간을 할애하여, 우리가 회개하고 주님에 의해 점진적으로 변화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행동을 나열해 본다.(위의 앤더슨 장로의 말씀을 다시 읽고 다음 구절 중 일부를 읽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모사이야서 26:29; 27:35; 앨마서 36:18; 제3니파이 9:22; 교리와 성약 6:9; 58:42~43)

  1. 다음 질문에 답한다.

    • 우리는 주님께 돌이키고 회개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이러한 노력들은 우리가 구주를 통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동영상 “하나님의 빛이 주는 희망”(6:46)을 시청하고 어떻게 구주께서 사람들을 “더 많은 선[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한 뼘 한 뼘” 변화하도록 도우시는지 찾아본다.

잠시 동안 이 수업이 여러분에게 어떻게 적용되는지 생각해 본다. 다음 질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학습 일지에 기록한다.

  1. 여러분이 점진적인 변화를 일으키도록 구주께서 이미 도우신 것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여러분은 자신의 노력과 주님의 도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2. 회개하고 주님을 통해 계속 변화하기 위해서, 주님께서 여러분에게 내딛기를 바라시는 다음 단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3. 이 과정에서 직면할 수 있는 장애물은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주님께 의지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