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모사이야서 21~24장, 제1부: 우리의 시련과 고통에 대한 주님의 목적을 찾음


“모사이야서 21~24장, 제1부: 우리의 시련과 고통에 대한 주님의 목적을 찾음”, 『몰몬경 교사 교재』(2024)

“모사이야서 21~24장, 제1부”, 『몰몬경 교사 교재』

모사이야서 21~24장, 제1부

우리의 시련과 고통에 대한 주님의 목적을 찾음

이미지
슬픈 표정으로 깊은 생각에 잠긴 청소년

주님께서 우리에게 시련과 고통을 허락하시는 이유를 어떻게 설명하겠는가? 모사이야서 21~24장에는 림하이 백성과 앨마 백성들의 경험이 사실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두 백성은 모두 어려움을 겪었다. 이번 과는 여러분이 인생에서 시련과 고통을 겪을 때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를 더 신뢰하도록 돕고자 마련되었다.

짐을 짊어진다

이미지
무거운 배낭을 멘 사람

여러분의 시련, 짐, 고통을 가방이나 배낭에 담아 몸으로 날라야 할 돌로 나타낸다고 상상한다.

  • 청소년들이 배낭에 든 무거운 돌처럼 느낄 법한 시련이나 부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사람들은 각자 진 짐에 대해 어떤 궁금증이 있을까?

잠시 시간을 내어 삶에서 현재 겪고 있거나 과거에 겪었던 시련과 부담에 관해 생각해 본다. 그것들을 학습 일지에 적는다. 그런 시련이나 부담과 관련된 질문, 고민, 소망도 함께 적을 수 있다.

오늘 공부할 때, 주님께서 이러한 시련을 겪게 하시는 이유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진리를 찾아본다.

림하이의 백성과 앨마의 백성

모사이야서 21~24장에서는 큰 시련과 고통을 겪은 두 무리의 백성들에 대해 배운다. 첫 번째 무리는 니파이 땅에 살았으며 노아 왕의 아들 림하이가 이끌었다. 두 번째 무리는 힐램 땅에 살았으며 앨마가 이끌었다.

이미지
모사이야서 21~24에 나오는 장소들

다음은 각 무리의 속박을 둘러싼 사건을 간략히 요약한 것이다.

림하이의 백성

아빈아다이의 가르침과 경고를 거역한 후, 림하이 왕이 이끄는 니파이인들은 니파이 땅에 있는 레이맨인들에게 속박되어 많은 세금을 내야 했다.(모사이야서 19:15 참조) 선지자 아빈아다이의 예언대로(모사이야서 12:5 참조) 레이맨인들은 림하이의 백성들에게 자신들을 섬길 것을 강요하고 무거운 부담을 지게 하였다.(모사이야서 21:3 참조)

앨마의 백성

아빈아다이가 죽은 후 앨마와 그를 따르는 이들은 몰몬의 물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침례를 받았다.(모사이야서 17:1~4; 18:1~14 참조) 그들은 나중에 안전을 위해 달아나 힐램 땅에 의로운 정착지를 세웠다.(모사이야서 18:32~34; 23:1~4, 19~20 참조) 앨마의 백성들은 결국 레이맨인들에게 발견되어 속박되었다.(모사이야서 23:25~29, 36~37 참조) 노아 왕의 사악한 제사 중 한 명이었던 앰율론은 그들을 다스릴 권세를 얻어 앨마와 백성들을 박해하기 시작했다.(모사이야서 24:8~9 참조)

주님이 시련을 주시는 이유

다음 경전 구절을 읽고 주님께서 우리에게 시련과 고난을 경험하게 하시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가르침을 찾아본다. 눈에 띄는 단어나 구절에 표시하면 좋을 것이다.

이미지
아이콘, 기록하기
  1. 다음 질문에 답한다.

  • 두 무리의 백성과 그들의 경험은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었는가?

  • 이러한 이야기에서, 이 백성들에 대한 주님의 사랑과 염려에 대한 증거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 주님께서 사람들이 시련과 고통을 겪게 하시는 이유에 대해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

이러한 이야기에는 주님께서 사람들에게 시련을 겪게 하시는 이유에 대한 몇 가지 진리가 나타난다. 여러분은 그중에서도 다음에 대해 알게 되었을 것이다.

  • 주님께서는 우리가 겸손해지고 그분께 더 의지할 수 있도록 시련을 경험하게 하신다.(모사이야서 21:5~14 참조)

  • 어떤 시련과 고통은 불순종의 결과로 온다.(모사이야서 21:15 참조)

  • 우리는 시련을 통해, 우리 삶에서 주님의 능력을 찾고 느낄 기회를 얻을 수 있다.(모사이야서 21:15~16; 24:14 참조)

  • 주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징계하시고 그들의 인내와 믿음을 시험하신다.(모사이야서 23:21 참조)

많은 사람들은 징계받는 것(모사이야서 23:21 참조)이 벌을 받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한다. 칠십인 정원회 린 지 로빈스 장로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징계라는 단어는 라틴어 castus에서 왔는데, 그 의미는 “순결한, 정결한, 또는 정결해지도록 징계함입니다.[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11th ed. (2003), “chasten”]”(“의로우신 재판장”, 『리아호나』, 2016년 11월호, 97쪽) 주님께서 여러분의 시련과 고통을 통해 어떻게 여러분을 정결하게 하실지 잠시 생각해 본다.

  1. 다음 중 두 개 이상의 질문에 답한다.

  • 이러한 진리를 이해하면 시련에 대한 여러분의 반응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

  • 주님께서 여러분에게 시련을 겪게 하신 목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경험은 무엇인가?

  • 오늘 배운 것 가운데 여러분이 겪는 시련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어떤 것이 있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