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리
모사이야서 3:19: 육에 속한 사람을 벗어 버리고


“모사이야서 3:19: 육에 속한 사람을 벗어 버리고”, 『몰몬경 교사 교재』(2024)

“모사이야서 3:19”, 『몰몬경 교사 교재』

모사이야서 3:19

육에 속한 사람을 벗어 버리고

이미지
웃고 있는 어린이들

여러분은 자신의 잘못이나 하나님의 모든 계명을 지킬 수 없음으로 인해 좌절한 적이 있는가? 베냐민 왕은 우리의 불완전한 본성을 가리켜 “육에 속한 사람”이라고 지칭했다. 그는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가르쳤다. 이 수업의 목적은 여러분이 인간의 타락한 본성을 극복할 때 구주의 도움을 구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우리의 타락한 본성

이미지
울부짖는 늑대

제일회장단의 댈린 에이치 옥스 회장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미국 토착 부족 중 하나인 어느 현명한 체로키족은 자신의 손자에게 삶과 관련된 비유를 들려주었습니다.  “내 마음속에는 두 마리 늑대가 치열하게 싸우고 있단다”, 할아버지가 말했습니다. “한 마리는 분노와 시샘, 자기 연민과 비탄, 탐욕과 거짓으로 가득한 악한 늑대이고, 다른 한 마리는 친절과 동정심, 겸손과 진실, 사랑과 기쁨이 가득한 선한 늑대야. 이 싸움은 우리 각자의 마음속에서도 계속 일어나고 있지.” 손자가 물었습니다. “어느 늑대가 이길까요?” (댈린 에이치 옥스, “선택”, 『청소년의 힘을 위하여』, 2021년 9월호, 13쪽; 셰인 엠 보웬의 다음 말씀에서 발췌, “선택의지와 책임”, 『리아호나』, 2012년 9월호, 52쪽)

  • 여러분이 할아버지라면 손자의 질문에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 여러분은 여러분 안에 있는 “두 마리 늑대” 사이의 이 투쟁을 알아차렸는가?

옥스 회장이 나눈 이야기에서, 어느 늑대가 승리할 것인가에 대한 손자의 질문에 대한 할아버지의 대답은 “네가 먹이를 주는 늑대”였다.

니파이인들에게 한 마지막 설교에서, 베냐민 왕은 천사가 그에게 우리의 타락한 본성에 대해 계시한 진리와 그것이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르쳤다.

모사이야서 3장 19절을 읽고 이 이야기에서 첫 번째 늑대로 묘사된 것과 같은 특징을 가진 사람을 베냐민 왕이 어떻게 묘사했는지 찾아본다.

모사야서 3장 19절은 교리 익히기 성구이다.  교리 익히기 성구들을 나중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눈에 띄게 표시해 두면 좋을 것이다. 다음 수업에서는 이 구절에서 배운 교리를 질문이나 상황에 적용하는 연습을 해 보게 될 것이다.

  •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

십이사도 정원회의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장로는 이렇게 가르쳤다.

베냐민 왕이 이야기한 육에 속한 사람은 우리 각자에게 어느 정도는 내재되어 있습니다. 육에 속한 남성 또는 여성은 회개하지 않고, 쾌락을 쫓고 육욕적이며, 자제력이 부족하고 무절제하며, 교만하며 이기적입니다.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우리는 … 순결을 믿는다”, 『리아호나』, 2013년 5월호, 42쪽)

  • 왜 육에 속한 사람은 하나님의 적이라고 생각하는가?

  • 우리 모두의 내면에 있는 육에 속한 남자 또는 여자에게 “먹이를 준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여러분의 삶에서 육에 속한 남자나 여자의 태도나 행동을 분간하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본다. 계속 공부하면서 이러한 태도와 행동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르침을 찾아본다.

육에 속한 사람을 극복한다

모사이야서 3장 19절을 다시 읽고, 이번에는 베냐민 왕이 육에 속한 사람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가르친 내용을 찾아본다.

  • 이 구절에서 육에 속한 사람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무엇을 배웠는가?

우리는 모사이야서 3장 19절에서 성령의 이끄심을 따름으로써 육에 속한 사람을 극복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성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배운다.

이미지
아이콘, 기록하기
이미지
아이콘, 기록하기
  1. 다음 질문에 답한다.

  •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육에 속한 사람을 벗어 버리고 그분의 속죄를 통해 성도가 되도록 우리를 어떻게 도우실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 성령의 이끄심을 따른다는 것은 무슨 의미라고 생각하는가? 이렇게 하는 것이 육에 속한 사람을 극복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상호 참조를 사용하여 더 깊이 이해한다

상호 참조를 사용하는 것은 성구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경전 공부 방법이다. 모사이야서 3장 19절에 나오는 가르침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상호 참조 구절을 찾아보며 이 방법을 연습한다.

복음 자료실 앱에서 “육에 속한 사람” 또는 모사이야서 3장 19절에 나오는 다른 핵심 단어를 검색하여 상호 참조 성구를 찾아본다. 또한 모사이야서 3장 19절의 각주에 나오는 성구 출처와 주제 중 일부를 살펴볼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다음 성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부할 수도 있다.

이미지
아이콘, 기록하기
  1. 다음 질문에 답한다.

  • 여러분은 이 활동에 어떤 상호 참조 성구를 사용했는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을 말해 본다.

  • 이 상호 참조 성구들을 통해 모사이야서 3장 19절의 가르침을 어떻게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는가?

  • 구주께서는 우리가 육에 속한 사람을 극복하고 성도가 되도록 어떻게 도우실 수 있는지에 대해 무엇을 배웠는가?

자신의 삶에 적용한다

  1. 다음 활동을 완료한다.

구주의 속죄를 통해 육에 속한 사람을 벗어 버리고 성도가 되는 것의 의미를 더 많이 배웠으니, 이제 이 가르침을 어떻게 삶에 적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어떤 일을 시작하거나 그만두도록 영감을 받은 것이 있는가? 그 일은 무엇인가? 여러분의 생각과 느낌을 학습 일지에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