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구약전서
5월 2일~8일. 출애굽기 35~40장; 레위기 1장; 16장; 19장: “여호와께 성결”


“5월 2일~8일. 출애굽기 35~40장; 레위기 1장; 16장; 19장: ‘여호와께 성결’”,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2022 구약전서』(2021)

“5월 2일~8일. 출애굽기 35~40장; 레위기 1장; 16장; 19장”,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2022』

이미지
브라질 상파울루 성전

5월 2일~8일

출애굽기 35~40장; 레위기 1장; 16장; 19장

“여호와께 성결”

경전을 공부하면서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를 더욱 닮아 갈 수 있는 방법들에 관해 떠오르는 영적인 느낌에 주의를 기울인다.

느낌을 기록한다

애굽을 떠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기적적인 사건이었지만, 그것으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한 하나님의 목적이 온전히 달성된 것은 아니었다. 또한, 향후 약속의 땅에서 그들이 누릴 번영도 그들을 위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니었다. 그러한 것들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에게 진정으로 원하셨던 다음 목표로 향하는 단계들에 불과했다. “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레위기 19:2) 대대로 속박받았다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알지 못했던 당신의 백성들을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거룩하게 만들고자 하셨는가? 그분은 백성들에게 광야에 여호와께 성결한 장소인 성막을 지으라는 명을 주셨다. 그분은 성약과 율법을 주셔서 그들의 행동을 인도하고 궁극적으로는 그들의 마음을 변화시키고자 하셨다. 그리고 그들이 그러한 율법을 지키려는 노력이 부족해지자, 주님은 그들의 죄에 대한 속죄의 상징으로 동물을 희생 제물로 바치도록 명하셨다. 이 모든 것은 그들의 생각과 마음과 삶을 구주와 그분께서 베푸시는 구속으로 향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그분은 이스라엘 백성과 우리 모두에게 거룩함으로 나아가는 진정한 길이 되신다. 우리는 모두 죄에 사로잡혔던 적이 있으며, 모든 사람은 회개하라는 권유를 받는다. 그것은 죄를 버리고 “내가 능히 너희를 거룩하게 할 수 있”다고(교리와 성약 60:7) 약속하셨던 분, 즉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것을 의미한다.

레위기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알아보고 싶다면 경전 안내서의 “레위기”를 참고한다.

이미지
Learn More image
이미지
개인 학습 아이콘

개인 경전 공부를 위한 아이디어

출애굽기 35~40장; 레위기 19장

주님께서는 내가 당신과 같이 거룩해지기를 바라신다.

출애굽기 25~31장에는 주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성막을 짓는 법에 관하여 지시하신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성막에서 그들은 성스러운 의식에 힘입어 거룩한 백성이 될 수 있었다. 출애굽기 35~40장에는 이스라엘 백성이 그 지시에 순종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가 기록되어 있다. 35~40장을 읽으면서, 주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성막 안에 놓으라고 말씀하신 물건들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이 물건들이 상징하는 바는 무엇이며 여러분이 더욱 거룩해지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는지 숙고해 본다. 특히 이러한 물건들이 어떻게 여러분의 생각을 구주께로 향하게 하는지 생각해 본다. 다음과 같은 표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무슨 물건을 찾았는가?

이것은 무엇을 상징할 수 있는가?

무슨 물건을 찾았는가?

언약궤(출애굽기 37:1~9; 40:20~21)

이것은 무엇을 상징할 수 있는가?

하나님의 면전, 그분의 성약과 계명들

무슨 물건을 찾았는가?

향단(출애굽기 40:26~27; 또한 출애굽기 30:1, 6~8 참조)

이것은 무엇을 상징할 수 있는가?

주님께 상달되는 기도

무슨 물건을 찾았는가?

촛대 또는 등잔대(출애굽기 37:17~24)

무슨 물건을 찾았는가?

번제단(출애굽기 38:1~7; 또한 출애굽기 27:1; 29:10~14 참조)

무슨 물건을 찾았는가?

물두멍(물통)(출애굽기 30:17~21)

성전 의식에 참여해 본 적이 있다면, 출애굽기 35~40장에서 성막에 대해 배운 것 중 여러분이 성전에서 했던 경험을 떠올리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또한 “유념할 점: 성막과 희생 제물” 참조) 성전 성약은 여러분이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와 같이 더욱 거룩해지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깊이 생각해 본다.

물론, 단순히 거룩한 장소에 있다고 해서 사람이 거룩해지는 것은 아니다. 레위기 19장에는 이스라엘 백성이 더욱 거룩해질 수 있도록 주님께서 주신 율법과 계명이 기술되어 있다. 이 계명에서 여러분은 자신이 더 거룩해지는 데 도움이 될 어떤 내용을 찾았는가? 여러분은 더욱 온전히 이 원리대로 생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가?

또한 다음 자료들을 참고한다. 캐럴 에프 맥콩키, “아름답고 거룩한 것”, 『리아호나』, 2017년 5월호, 9~12쪽; “성막”(동영상), ChurchofJesusChrist.org; 경전 안내서, “거룩함”, temples.ChurchofJesusChrist.org.

출애굽기 35:4~36:7

주님은 내게 기꺼이 헌물을 바치라고 명하신다.

애굽을 떠난 이듬해에 여호와와 이스라엘 자손의 관계는 일관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출애굽기 35장 4절부터 36장 7절까지 읽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백성이 성막을 지으라는 계명에 어떻게 응했는지에 주목한다. 이스라엘 백성에게서 우리는 주님을 더욱 잘 섬기는 데 도움이 될 어떤 점을 배울 수 있는가?

보니 엘 오스카슨 회장은 이렇게 가르쳤다. “각각의 회원들은 자신이 얼마나 필요한 존재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저마다 힘을 보탤 수 있는 중요한 무언가를 지녔으며, 이 중대한 사업을 진척하는 데 도움이 될 독특한 재능과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구원 사업에서 청녀의 역할”, 『리아호나』, 2018년 5월호, 37쪽) 출애굽기 36장 1~4절을 읽으며, 주님께서 여러분에게 무엇을 “부으”셨는지 깊이 생각해 본다. 여러분이 하늘 아버지의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그분께서 여러분에게 무엇을 주셨는지 기도로 여쭈어 볼 수 있다.

이미지
성막을 짓기 위해 헌물을 가지고 오는 고대 사람들

이스라엘 자손은 성막을 지을 수 있도록 “마음에 원하”여(출애굽기 35:5) 헌물을 바쳤다. 삽화, 코르베르트 가시에, © Lifeway Collection/licensed from goodsalt.com

레위기 1:1~9; 16장

나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용서받을 수 있다.

동물 제물, 피와 물이 포함되는 의식들, 삶의 세세한 부분까지 통제하는 율법 등, 레위기에 기록된 내용의 많은 부분은 우리에게는 생소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의식과 율법은 회개, 거룩함, 구주의 속죄와 같이 우리에게 친숙한 원리들을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것이었다. 레위기 1장 1~9절16장을 읽으면서 이러한 원리들을 찾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생각해 본다. 이러한 희생 제물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속죄 희생과 관련하여 나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는가? 나는 이러한 희생 제물을 바치는 이들과 어떤 점에서 같은가? 이 교재의 “유념할 점: 성막과 희생 제물”과 경전 안내서의 “희생”(scriptures.ChurchofJesusChrist.org)을 살펴본다.

이미지
가족 학습 아이콘

가족 경전 공부 및 가정의 밤을 위한 아이디어

출애굽기 36:1~7.출애굽기 36장 1~7절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성막을 지으라는 명에 화답한 방식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우는가? 주님께서는 우리가 어떤 방법으로 당신의 사업에 참여하도록 권유하시는지를 가족과 함께 생각해 본다. 우리는 어떻게 이스라엘 백성의 모범을 따를 수 있을까?

출애굽기 40장.출애굽기 40장을 함께 읽으면서, 가족들에게 “여호와께서 … 명령하신 대로”라는 문구가 나올 때마다 손을 들라고 한다. 우리는 이 장에서 주님께 순종하는 것에 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출애굽기 40:1~34.출애굽기 40장에서 성막을 짓는 것에 대해 읽으면서, 이 교재에 수록된 그림을 활용하여 성막의 각기 다른 부분을 함께 찾아본다. 이 토론을 오늘날의 성전 예배와 연결시키기 위해 “왜 후기 성도들은 성전을 짓는가”(

레위기 19장.가족들은 이 장에서 그들이 “거룩하”게(레위기 19:2)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되는 구절을 하나씩 찾아 서로 이야기를 나눠 볼 수 있다.

자녀를 가르치기 위해 더 많은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면,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교재의 이번 주 학습 개요를 참고한다.

추천곡: “거룩함도 더욱”, 『찬송가』, 60장.

개인 학습 향상을 위한 도움말

예수 그리스도를 찾는다. 모든 경전은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며, 구약전서도 그렇다. 구약전서를 읽는 동안, 거기에 나오는 상징과 인물 및 사건들을 통해 구주에 대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이미지
성막

고대 성막, 브래들리 클라크